“성적이요? 별로예요. 그래도 동네 친구끼리 모여서 하니까 신기하게도 (공부가)잘 돼요.”
17일 공부방에서 만난 영준(11)이의 말이다. 옆에서 분수 약분 문제를 풀던 영채가 거든다.“방학이 끝나도 학교 안 가고 공부방에서 수업받으면 좋겠어요.”
공부방에 나오는 아이들은 20명. 형편이 어려워 학원수강은 엄두도 못 내는 저소득층 자녀들이다. 편부모·조손(祖孫)가정 아이들이 대부분이고, 부모가 있더라도 맞벌이를 하느라 돌볼 겨를이 없다.
학교가 방학하는 여름과 겨울이면 아이들은 갈 곳을 잃는다. 점심을 학교급식에 의존하던 아이들은 PC방 등에서 시간을 보내다 끼니를 거르는 경우도 잦다. 지난해 성동구가 20개 주민센터에서 방과후 공부방을 시작한 뒤 여러 자치구가 경쟁적으로 공부방을 열었지만 방학 중 ‘종일 공부방’을 운영하는 곳은 이곳 행당2동과 금호4가동뿐이다.
“학원만큼은 안 돼도 학습 프로그램을 짜고 수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종일반을 운영하려면 강사 확보 문제부터 어려운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수학을 가르치는 천장식(49) 민원행정팀장이 어려움을 털어놓는다.
다행히 이곳은 동 직원 2명과 공익요원 2명에 자원봉사자 3명의 도움을 얻어 종일반을 운영하고 있다. 공부방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국어·영어·수학 등 교과 수업과 함께 피아노·한자교실 등을 병행한다. 점심은 동에서 제공한다.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이어지는 자율학습 시간. 독서카드를 만들어 경쟁을 붙인 덕에 다들 독서삼매경에 빠져 있다. 방학이 끝날 즈음 독서왕을 뽑아 상품도 줄 계획이다. 유래(11)의 목표는 이번 겨울에 책 스무 권을 읽는 것이다. 요즘은 헬렌켈러 전기를 열심히 읽고 있다.
“저는요, 설리번 선생님처럼 장애인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고 싶어요.” 유래가 진지하게 말하자 “거짓말, 넌 취미가 남자애들 때리는 거잖아.”라며 옆자리 성문이가 짓궂게 놀린다. 금방 떠들썩한 웃음이 터져나온다.
‘차별 없는 교육특구´를 지향하는 성동구의 도움으로 아이들의 꿈이 옹골차게 영글고 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1-18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