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는 국내 참조기 생산량의 40∼50%를 생산하는 추자도를 ‘참굴비 산업특구’로 지정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12월까지 관련 용역을 실시한 뒤 특화사업계획을 마련하고 내년 2월까지 공청회, 도의회 의견 청취 등을 거쳐 3월 지식경제부에 특구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지역특구는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규제 특별법’에 근거해 자치단체가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추진하는 특화 사업에 대해 정부가 일정 지역을 특구로 지정해 규제 특례를 적용하는 제도로 현재 전국에 102개의 지역특구가 운영되고 있다.
1969년부터 전남 영광지역으로 참조기를 판매해 온 추자도에서는 현재 60척의 유자망 어선이 연간 전국 조기 생산량의 절반가량인 1만t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가운데 10∼15%만 추자도에서 굴비로 가공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영광으로 팔려나가 ‘영광굴비’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에 추자 주민들은 직접 굴비를 생산하기로 하고 2003년에 12억원을 들여 참조기 가공공장을 지어 굴비를 생산하기 시작하는 등 연간 1500t의 굴비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시는 올해부터 2010년까지 35억원을 들여 굴비 제조, 제품 생산, 유통 및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고 2011년부터 연간 모두 6000t의 굴비를 판매해 1000억원의 수입을 올린다는 계획이다. 조동근 제주시 해양수산과장은 “‘참굴비 특구’로 지정하고 도지사 품질 보증, 명품 브랜드 품질 인증, 해양수산부 인증 수산물 생산이력제 등을 통해 ‘영광굴비’보다 앞서는 브랜드 파워를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