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7일 홍성군을 상대로 감사를 벌였다. 이날 감사는 예산군 문화·예술 단체로 구성된 고암출생지지키기대책위가 지난달 20일 “홍성군이 고암의 출생지가 아닌 데도 국비를 끌어들여 생가복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감사를 청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홍성군은 지난 4월부터 고암의 출생지가 ‘홍성군 홍북면 중계리’임을 주장하면서 국비 14억원 등 47억원을 들여 생가복원사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예산군과 대책위는 국가 공식문서인 제적부상 고암의 출생지가 ‘예산군 덕산면 낙상리 24번지’로 기록돼 있다고 홍성군을 반격하고 있다.
홍성군 관계자는 “고암과 그의 친인척들이 홍성을 고향으로 말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고암의 형인 이종로(1964년 사망)씨의 유족들이 이 화백과 같은 예산 낙상리로 기록된 아버지의 제적부 등을 홍성 중계리로 정정해줄 것을 대전지법 홍성지원에 신청하고 나서 홍성에 힘이 실리기도 했다. 이에 예산군은 이종로씨의 제적부 등을 추가로 제시하며 맞불을 놓았다.1935년 호주상속을 한 이씨의 제적부에는 어머니와 계모인 큰어머니 출생지와 사망장소 모두 낙상리 24번지라며 고암의 출생지임을 재차 강조했다.
예산군 관계자는 “고암의 생가가 엄연히 예산군에 있는 만큼 기념관은 몰라도 다른 지역에서 생가를 복원하려는 건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면 홍성군 관계자는 “감사원 감사 및 이종로씨 유족의 호적정정신청 결과가 나오면 고암의 출생지가 분명하게 가려질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