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구에 따르면 사업자의 수익률이 우선 감안돼 천편일률적으로 건설돼온 소규모 공동주택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건축위원회 심의과정에서 다세대·다가구 소규모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을 벗어났다는 판단이 내려질 경우 건축 추진이 어렵게 됐다.
소규모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입주자들이 편하게 살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드는 것이다. 그동안 입주민의 편의와 외관 디자인이 무시된 채 한 동네 모든 건축물이 동일하게 지어지던 방식을 금지하고 건물마다 입주자를 고려한 설계와 디자인을 더했다.
가이드라인은 녹지공간을 최대한 확보해 개방감을 느끼도록 했으며 도로전면에 1.2m 이상의 보도를 만들어 보행 편의도 제공하기로 했다. 또 1층 주차장을 거치지 않고는 건물 진입이 불가능했던 구조도 개선, 별도의 출입구를 만들어 바로 건물로 들어갈 수 있게 했다. 옥상 조경과 마당·주차공간 잔디 블록도 권장하기로 했다.
양대웅 구청장은 “앞으로 구로구의 도시개발은 아파트의 경우 학교·도로·공원 등이 모두 어우러진 광역개발 방식으로, 소규모 공동주택의 경우 다세대·다가구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맞춰 진행된다.”면서 “두 가지의 개발방식이 도시 난개발을 막고 미래지향적 도시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