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위, 시 요구사항… 수용 車부품산업·생활철도건설 등 추가
정부가 추진하는 ‘5+2 광역경제권’ 개발구상과 관련, 광주시가 줄기차게 요구해 온 ‘수정안’이 받아들여지면서 이 문제가 일단락됐다.10일 광주시에 따르면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광주 연구개발(R&D)특구 지정 ▲광주·전남광역생활철도 건설 ▲자동차부품 산업 클러스터 조성 ▲친환경부품산업 육성(선도 산업) 등 시의 요구사항을 받아들이기로 약속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이와 관련, “정부가 호남권 지자체의 수정·보완 요구를 대부분 수용한 만큼 세부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정부와 차분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어 그동안 제출을 거부했던 선도산업계획서를 조만간 지식경제부에 낼 예정이다. 이로써 ‘호남소외’ 논란을 일으키며 지난해 10월부터 계속됐던 ‘5+2 광역경제권’ 갈등은 해결 국면에 접어들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5+2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으로 당초 제시된 신·재생 에너지와 광소재 산업(광기반 융합·LED조명)을 신·재생 에너지와 친환경부품소재(광소재·친환경자동차부품) 사업으로 범위를 확대, 변경키로 합의했다.
또 새만금 조기개발과 여수엑스포 기반시설 확충·서남해안 다도해 개발·광주외곽순환도로 구축·호남고속철도 건설 등 5개 선도프로젝트에 광주·전남 광역생활철도 건설과 자동차부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을 추가했다. 이번에 추가된 광역생활철도 건설사업은 광주의 지하철을 전남 화순과 나주의 공동 혁신도시까지 각각 연장하는 사업이다.
이는 선도 프로젝트로 분류된 ‘호남고속철도 건설’이 호남권과 충청권을 포함하는 초광역권 사업인 만큼 5+2광역경제권 구상에는 맞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정부 지원사업으로 이끌어 냈다.
자동차부품산업클러스터는 시의 핵심사업인 ‘클린 디젤’ 육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광산구 진곡산단, 고룡동 일대 240여만㎡에 자동차 전문 부품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또 광주시가 줄기차게 요구해 온 ‘광주 R&D 특구 지정 및 육성’은 정부의 초광역개발권 중장기 프로젝트로 대구와 연계 추진한다. 여건이 잘 갖춰진 광주부터 우선 추진하고 자동차부품산업클러스터도 이와 연계해 관련 인프라를 지원키로 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2-11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