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주택공사 등에 따르면 화성 태안 3지구 택지개발사업은 화성시 태안읍 송산·안녕리 일원 118만 8000㎡를 택지로 개발하는 사업으로 2003년 개발계획 승인이 났다.
이후 왕릉터 등 문화재 보호를 요구하는 종교계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에 부딪혀 표류하다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으로 택지개발 북쪽에 ‘효테마공원’을 건설하는 방안이 제시되면서 공사 재개 분위기가 조성됐다.
●“초장지 등 유적 파괴·주변 경관 훼손될 것”
그러나 지난달 말 융·건릉을 포함한 조선왕조 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정조대왕 왕릉터 유적을 파괴하는 공사를 중단하라.”는 문화·시민단체들이 요구가 다시 거세지고 있다.
특히 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정조의 초장지(정조가 처음 묻힌 곳)와 재실터, 정자각 터가 발견되면서 왕릉터 전체를 사적지로 지정해 택지개발 대상지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효운동총연합회, 대한불교 조계종 총무원, 경기지역 사학과 교수연합회 등 46개 시민·종교·학술단체를 구성된 ‘정조대왕 효행유적지보존 범국민연합’은 “정조의 효행 유적들이 아파트 건설이라는 정책으로 짓밟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사연구회와 한국역사연구회 등 7개 학술단체도 “택지개발 사업으로 왕릉 주변 경관을 훼손하는 것은 물론 사업 예정지에서 발굴된 정조 대왕의 초장지 관련 유적까지 파괴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하지만 문화재청은 지난 8일 분과위원회 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으나 재실터와 정자각 등을 사적지로 지정하지 않았다. 대신 융·건릉에서 재실터까지 연결녹지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택용지→공원녹지로 변경… 더는 안돼”
이와 관련, 대한주택공사측은 “재실터 등을 사적지로 지정할 경우 택지개발자체가 취소될 수 있다. 효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단독주택 용지를 공원녹지로 변경하는 등 그동안 종교계와 문화단체의 요구사항을 상당 부분 받아들였다.”며 더이상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주공 택지개발팀 유창호 차장은 “유네스코 실사 과정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양해가 이뤄져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기문화연대 진선관 사무국장은 “재실터가 사적지로 지정되지 않는 바람에 왕릉 터 바로 앞에 15층짜리 아파트가 들어서게 됐다. 세계가 조선왕조 왕릉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해 주고 있는데 정작 당사자인 우리만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기문화연대측은 재실터가 사적지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 문화재청을 상대로 당시 회의 자료와 문서, 녹취록 등을 정보공개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09-7-17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