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근차근 일 배울 생각은 하지 않은 채 쉽고 편한 것만 해요. 차라리 학력이 낮아도 우직하게 일하던 후배들이 그립습니다.” 5급 B(52) 과장
하위직 지방공무원에 고학력·명문대 출신자들이 주류로 자리를 잡으며 공무원 사회에서 이런 볼멘소리가 종종 들린다. 급속한 ‘학력 인플레이션’에 따른 갈등이다. 취업난 탓에 생겨난 ‘학력 미스매치’ 현상이라는 것이다.
서울신문은 19일 서울지역 자치구에 근무하는 새내기 9급 공무원과 팀장(6급)·과장급(5급) 중간 간부들을 만나 서로에 대한 솔직한 평가를 들어봤다.
●전문분야 활용·조직 활력 큰 효과
선배 공무원들은 대체적으로 “학력이 높은 후배 덕분에 새로운 것을 배우고, 공부하는 자극제가 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우선 내놓으면서도 “후배들이 공직을 단순히 편하고 안정된 직장으로만 생각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30년을 공직에 몸담은 C 국장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공직에 들어올 때에는 공복(公僕)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면서 “그런데 요즘 들어오는 젊은 직원들은 더 좋은 직장에 갈 수 있는 학력과 실력을 가졌지만 공무원이 단순히 안정된 직장이고, 다른 곳에 비해 편하다는 생각으로 들어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D 과장은 “스펙(학력·학점·토익 점수)이 좋은 신입 직원들이 많아지면서 뒤늦게 공부에 뛰어든 선배들이 늘어나는 등 공직사회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 구청은 외국 명문대 출신을 9급직으로 받아들이면서 통역과 번역 등을 맡겨서 효과를 톡톡히 본다고 소개했다. 그는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학력이 높아서 그런지 자기 맡은 일은 똑 부러지게 처리하는데 협동심은 부족하다.”면서 “자기 시간을 즐기려고 오후 6시만 되면 ‘맡은 일 끝내고 먼저 갑니다’라고 인사한 뒤 휙 나가 버린다. 우리 때는 안 그랬다.”며 C 국장의 말에 맞장구를 쳤다.
반면 다른 방에서 만난 새내기 공무원들은 “선배들의 경험을 존중하지만 젊은 직원에게 활력을 불어넣어 주지 못하는 조직문화가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여직원들은 “소통할 수 있는 길이 늘 술자리라 괴롭다.”고 볼멘소리를 했다.
8급직 E씨는 “하위직의 경우 기계적인 일이 대부분인 데다 공직 특유의 연공서열에 막혀 일에 흥미를 갖지 못한다.”면서 “신입 직원이니까 아이디어를 내라고 해놓고 며칠씩 고민해 아이디어를 내면 기다렸다는 듯이 ‘그거 내가 다~ 예전에 해봤는데 안 돼~’라며 무시하기도 한다.”고 푸념했다. 최근 8급으로 승진한 F씨는 “선배들에게 경쟁이란 것은 부서 안에서 승진과 근무평가에만 존재한다.”면서 “이런 조직 문화에 길들여져 다른 직종의 친구들을 따라가지 못하고 도태되는 것 아닌가 고민이 많다.”고 했다.
●‘학력 미스매치’ 조직 갈등 요소로
9급직 여성 G씨는 “회식을 하면 늘 나이 드신 과장님 옆에 앉아야 하고 야근을 준비하며 먹는 저녁식사는 늘 직원들이 함께 움직여 무슨 찌개에다 소주 한 잔 하는 풍토가 싫다.”고 하소연했다. 또 다른 9급 여성 H씨는 “부서원 간의 소통은 대부분 저녁 술자리에서 이뤄지며, 맨정신으로 속 깊은 대화를 나눈 적이 거의 없다.”면서 “얼마 전 모 구청에서 20대 여직원에게 50대 과장이 몹쓸 짓을 한 것도 음주와 경직된 조직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현석기자 hyun68@seoul.co.kr
2011-07-2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