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시의 좌절, 고공단 승진은 ‘꿈’
|
한 관계자는 “고위공무원 교육을 받으면서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배우게 됐다.”면서도 “한편으론 기회도 없는데 내가 이걸 왜 받고 있나 하는 한심한 생각이 들었다.”고 토로했다.
●국장에서 과장으로 영전(?)
C청 공무원들은 얼마 전까지 청에서 고위공무원으로 근무하다 본부로 복귀한 간부 D씨가 이사관이 아닌 부이사관으로 승진했다는 사실을 알고 다들 놀랐다. 서기관급인 D씨는 청 고공단직위에 응모, 2년간 근무했었다. 결국 본부에 그대로 근무하면 부이사관 승진이 여의치 않을 것을 감안해, 외청 고공단 자리를 승진수단으로 활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이다. 이 때문에 D청 공무원들은 분개했고 내부의 승진 후보자들은 상실감을 맛봐야 했다.
상급부서의 인사 전횡이 최근 일은 아니다. 각 기관마다 본부에서 대놓고 내려오는 자리가 정해져 있을 정도다. 전도가 유망한 간부라면 ‘우군’을 확보한다는 명분이라도 있지만 본부에서 밀린 인사들이 내려오면서 외청을 ‘공직의 종점’으로 활용한다는 반발을 사고 있다. 외청 관계자는 “규정위반 여부를 떠나 대단히 잘못됐고 어이없는 인사”라고 한탄했다.
●직제없는 투명 간부, 기관장 ‘마음’
E청에는 직제에 없는 투명 간부가 있다. 외부의 지적과 내부 비판이 제기됐지만 기관장은 ‘요지부동’이다. 오히려 간부회의에서 국장석에 자리를 배치하는 대범함을 보여줘 참석자들을 놀라게 했다. ‘인사가 만사’라는 조직관리의 기본이 ‘인사권은 기관장의 고유권한’이라는 고집에 묻혀버렸다. 최근에는 타 부처에서 서기관이 지방청으로 소리 없이 전입했다. 사무관만 돼도 부처 이동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보이지 않은 손(?)이 작용했다는 해석이 분분하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11-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