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최소 3년치 완벽 공략 모르는 문제 재빠른 포기도 전략
5급 행정·기술직, 5등급 외무직 공채시험의 1차 관문인 공직적격성검사(PSAT)가 다음 달 25일 치러진다. 수험전문가들은 PSAT를 한 달 앞둔 수험생들에게 “기출문제 풀이를 통해 문제해결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암기할 것”을 주문한다. 369명을 최종선발하는 이번 채용의 원서접수는 25~30일이다.도입 초기 ‘PSAT형 인간이 있냐, 없냐.’가 논란이 될 정도로 PSAT는 기존 고시 공부 방법으로는 좋은 점수를 거두기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도입 9년차인 올해 수험계의 중론은 다른 과목들과 마찬가지로 기출문제 중심으로 오래 공부하고 반복해서 공부하면 성적이 오른다는 것이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특히 기출문제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각 문제가 측정하고자 하는 능력을 이해하고 문제해결에 필요한 ‘문제풀이 사고방식’ 자체를 암기하면 5(등)급 공채시험 1차 관문을 넘는 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 실전에서 자신이 사용할 수 있을 듯한 사고는 반드시 반복해서 몸에 익혀야 색다른 문제를 만나도 순발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이해가 안 되는 문제가 있으면 파고들어 빨리 정복하거나 아예 제빨리 포기하는 편이 낫다. PSAT는 시간 안배가 시험의 당락을 결정하는 시험이다. 안 되는 문제는 실전에서도 그렇고 준비를 할 때도 시간을 빼앗길 필요가 없다.
기출문제를 반복할 때는 문제의 정답만 확인하지 말고 문제의 주제는 물론 모든 선택지 내용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정리해야 한다. 석치수 합격의법학원 PSAT 자료해석 전임강사는 “가장 좋은 문제는 기출문제다.”면서 “기출문제를 선택지까지 정독해도 주어진 시간에서 5분 이상 남도록 연습하라.”고 강조했다.
PSAT은 2004년 전문지식보다 공직자로서의 필요한 기본 소양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됐다. 평가영역은 언어논리·자료해석·상황판단 등 3개이며, 영역별로 40문항(100점 만점)이 출제되며 주어진 시간은 90분이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01-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