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체 가구중 43%가 CO2 2만t 감축
전국에서 처음으로 탄소은행제를 도입한 광주지역에서 참여 가구가 전체 가구의 40%를 넘어서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29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현재 전체 가구의 43%인 24만 350가구가 이 제도에 가입, 이 가운데 60.6%인 14만 581가구가 에너지를 절감한 것으로 집계됐다.에너지원별로는 전기 1만 6495t, 가스 3785t, 수도 5269t 등 모두 2만 5550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 소나무 918만 그루를 심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참여 가구들이 전기 멀티탭 사용, 안 쓰는 전기플러그 뽑기, 가스와 수돗물 아껴쓰기 등 저탄소 녹색생활을 통해 이런 결과를 낸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2008년 처음 도입한 탄소은행제는 일반가정에서 에너지 절감을 통해 요금도 절약하고 포인트 혜택도 받으며 지구도 살리는 1석3조의 효과를 거두면서 지난해 10월 열린 도시환경협약(UEA) 광주정상회의에서 널리 홍보되기도 했다.
탄소은행제에 참여하면 이산화탄소 감축량에 따라 쌓인 탄소포인트를 받아 현금화할 수 있다. 참여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2년간 사용량 대비 5%가량을 절감할 경우 전기는 1㎾당 50~70원, 가스는 1㎥당 12~20원, 상수도는 1㎥당 40~60원의 포인트가 협약은행의 ‘탄소그린카드’를 통해 적립된다.
●하반기에 자치구별 실적 평가
시는 탄소은행제 활성화를 위해 ▲대기전력 절전 프로그램 설치 ▲탄소그린카드 지원혜택서비스 확대 ▲저탄소 녹색아파트 조성사업 ▲기업체 탄소배출권 모의거래 참여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또 올 하반기에 5개 자치구별 온실가스 감축 실적 평가를 통해 최우수 1개 기관 5000만원, 우수 2개 기관 4000만원, 장려 2개 기관 3500만원의 상금을 준다. 탄소절감 실적이 우수한 아파트를 선정해 지하주차장 조명등, 승강기 내부, 경로당, 보안등을 고효율 LED전등으로 교체해 줄 방침이다. 이 밖에 탄소은행제와 연계한 다양한 녹색소매 금융상품(예·적금)을 개발해 세계적인 녹색금융의 롤모델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열린 도시환경협약 광주정상회의에서 탄소은행제를 근간으로 한 도시청정개발체제(CDM)를 제안해 호평을 받았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12-05-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