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로 완벽해질 때까지 영어 번역문 쓰고 또 썼죠”
“제가 쓴 영어 번역문이 우리말로 쓴 괜찮은 글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연습하고, 나만의 스케줄을 짜서 공부한 것이 합격 비결입니다.”5등급 외무직 공채(옛 외무고시)에 수석합격한 나근왕(25)씨가 27일 합격비결을 털어놨다. 서울대 외교학과 4학년인 나씨는 외교학과 입학을 계기로 1학년 때부터 외시를 준비했다.
●2차 논술 시험, 논리력 키우려 외교부 보고서 챙겨봐
합격비결치고는 의외로 평범했다. 그는 ▲꾸준한 연습과 복습 ▲자기식 공부법 찾기 ▲시험장에서 마인드 컨트롤(심리조절)이 합격비결의 전부라고 밝혔다.
1차 시험인 공직적격성평가(PSAT)에서는 오답노트를 만들면서 자신의 오답 패턴을 파악했다. 나씨는 “내가 어떤 식으로 틀리고 있는지, PSAT이 요구하는 사고구조가 무엇인지를 고민해서 자신의 사고구조를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하면 내 사고구조를 PSAT형으로 바뀌었는지를 ‘비법노트’를 만들어 정리하면서 비슷한 실수를 줄여나갔다.”고 말했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2차 논술형 시험에서 그가 가장 강조하는 것은 “팩트 나열보다 글의 전반적인 논리구조를 세우는 일”이다. 국제정치학의 뼈대는 대학 학과수업으로 잡았다. 관련 연구서나 논문도 읽어야 한다. 특히 외교부 보고서를 꾸준히 챙겨보면서 그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답안지를 작성할 때는 핵심 키워드가 돋보이도록 해야 한다.
●‘영어 잘한다’ 자만은 금물… 더 많은 시간 할애해 공부했죠
국제법은 공부해야 할 양이 많다. 수험생활 초, 나씨는 무작정 외우려고만 했지만 번번이 어려움만 겪었다. 그는 “디테일한 팩트나 법리를 단순히 외울 것이 아니라 판례나 모의케이스를 적용하면서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를 간파하면 좀 더 쉽게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경제학에서도 가장 좋은 교과서는 기출문제다. 그는 “경제학 전반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로 기출문제만큼 좋은 게 없다.”고 강조했다.
●“다른 계층 ·배경의 사람들과 잘 소통하는 외교관 되고파”
나씨는 합격의 가장 큰 요인을 “수험기간 동안 남의 스케줄이 아닌 내 스케줄을 짜서 내 방식대로 공부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조건 고시학원에 다니고 일상적인 방식으로 준비했으면 합격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그는 “다른 계층, 다른 배경의 사람들과 잘 소통하는 외교관이 되고 싶다.”면서 “외국과 소통을 잘하는 외교관이 아닌, 우리 국민과도 더 잘 소통하는 외교관이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06-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