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 갈아입은 홍지문 무명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금천구, 새내기 공무원 공직생활 예습 교육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50만 강동, 잠재가치를 세일즈합니다”[현장 행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부가가치 4.4조’ 창출…광명시흥 경제자유구역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충남지방공무원교육원, 49년만에 개명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지방’은 서울중심적 용어” 기관 이름서 삭제하기로

충남지방공무원교육원이 내년부터 충남공무원교육원으로 바뀐다. 기관 명칭에서 ‘지방’이라는 표현이 사라진다.

공무원 교육원으로서의 기능이 크게 변하는 것도 아니고 단지 지방이라는 표현만 사라지는 것이지만 공무원들의 자치의식이 그만큼 성숙해졌다는 뜻이어서 주목된다.

김영랑 도 교육원 주무관은 4일 “자치분권화 시대에 걸맞게 중앙으로부터 독립된 기관임을 알리고 풀뿌리 민주주의시대 지방정부 공무원의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 이름을 내년부터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원은 이를 위해 충남도 및 시·군 공무원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였고, 그 결과 ‘현재 이름에서 ‘지방’이란 글자만 빼자’는 의견이 대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공무원교육원이라는 기관명칭은 1963년 관선시대가 열리면서 중앙공무원교육원과 대비해 ‘지방’을 붙이면서 지금까지 사용해왔다.

1991년 지방의회 선거에 이어 1995년 민선단체장 선거를 계기로 본격적인 지방자치제가 실시됐으나 공무원의 자치의식은 여전히 부족했다.

전국 16개 시도 행정기관 명칭에서 지방이라는 표현이 처음으로 사라진 것은 2007년. 서울과 부산이 지방공무원교육원을 ‘인재개발원’으로 변경하면서부터다.

이후 인천, 대전, 경기, 강원, 제주와 지난 1월 경남까지 모두 8곳이 지역명 다음에 ‘인재개발원’을 붙여 사용하고 있다. 충북은 지방공무원교육원을 ‘충북자치연수원’이란 이름으로 변경해 쓰고 있다. 대구는 인재개발원으로 변경했다가 ‘공공기관인지, 민간단체인지 헷갈린다’는 시민들의 여론이 나오자 2008년 당초 명칭에서 지방이란 글자를 빼고 ‘대구공무원교육원’으로 다시 바꿨다.

‘지방공무원교육원’이란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시도는 충남을 비롯해 광주, 전북, 전남, 경북 등 5개 시도다. 울산시는 공무원교육원이 별도로 없어 관내 대학 등에 위탁교육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서울공화국’이라는 말에서 드러나듯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지방으로 푸대접받는 현실 아니냐.”면서 “작은 변화이겠지만 우리 공무원들이 지역 발전을 새롭게 도모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2-07-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