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개발로 방배 경제 살리고 연구단지 만들어 일자리 창출”
“주민들은 작은 노력에 감동합니다. 직원들도 그 모습을 보고 보람을 느끼죠.” 19일 만난 진익철 서초구청장은 취임 2년을 맞은 소회를 묻자 먼저 ‘직원들의 고난’에 대해 얘기했다. 이날 3개의 현장방문 일정을 마쳤다는 그는 “취임과 동시에 현장에 가면 답이 있다는 생각으로 구민들의 의견을 듣고 소통하는 행정을 하려 했다.”며 “그 과정에서 함께 뛰느라 스트레스로 직원들의 머리에 쥐가 났을 것”이라고 전했다.진 구청장은 직원들 사이에서 8급 공무원을 뜻하는 ‘진 서기’로 불린다. 하위 주무관들이나 알고 챙길 사안들을 꼼꼼히 챙긴다는 얘기다. 그러다 보니 직원들도 늘 업무에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별명을 탐탁잖게 여길 법도 하지만 오히려 자랑이 아니겠느냐는 너스레(?)도 빼놓지 않는다. 그는 “직원들도 체질 개선을 하는 데 상당히 힘들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그런 노력이 없었다면 지난 2년간 이룬 성과도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에둘러 격려의 말을 전했다.
●서초 정보사령부 부지에 복합문화공간
스스로가 30여년 공직생활을 한 진 구청장은 ‘현장형 공무원’으로 직원 체질을 바꾸기 위해 자신부터 먼저 현장으로 뛰어 나갔다. 동장들과 함께 가가호호 주민을 방문하는 ‘도어 투 도어 비지트’를 실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임기 전반기에 9000건 가까운 민원을 접수하고 2000건을 해결했다.
진 구청장은 2년 임기 중 주요 성과로 출산율 증가를 꼽기도 했다. 그는 “취임 당시에는 하루 10명쯤 태어나던 아이가 지금은 12명 정도로 늘었다.”며 “서초구가 행복지수 1등 도시로서 아이 키우기 좋고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변해가고 있다는 의미”라고 소개했다. 진 구청장은 트위터, 카카오톡, 메신저 등 소셜네트워크세비스(SNS)로도 꾸준히 주민들과 소통하며 서초구의 인터넷소통대상 수상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그는 전자도서관 건립, 마권발매소 건립 백지화, 청렴 문화 조성 등도 성과로 꼽았다.
민선 5기 남은 임기에 집중할 핵심 사업은 뭘까. 진 구청장은 “하반기에는 도시계획에 무게를 둘 것”이라며 “지금 테헤란로의 활기가 방배·동작 지역으로도 뻗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진 구청장은 서초동 정보사령부 이전 부지에 구민들을 위한 복합 문화예술복지 공간을 구상하고 있다. 현재 연구용역 단계인 이 사업이 구체화되면 방배 지역 경제권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자리 창출도 여전한 과제다. 진 구청장은 삼성전자 연구개발센터가 들어오기로 한 우면2지구 개발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는 “일자리 창출이 곧 복지라는 생각으로 연구개발(R&D) 단지 조성을 위해 서울시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디자인단지, 생명공학단지 등이 들어오고 1만명가량 석·박사 인력이 유입되면 전국 최고 수준의 과학 도시로 변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 사진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7-2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