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식 강동구청장은 18일 임기 후반기 역점 사업으로 ‘지하철 9호선 연장’을 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구청장은 이와 함께 ‘학교 밖 아이들 지원센터’ 건립 등 교육 지원 사업과 도시농업을 꾸준히 이어 갈 방침이다. 그의 후반기 정책 구상을 들어봤다.
→반환점을 돌아온 소감은.
-민선 5기 공약으로 냈던 무상급식이 2년 전 취임 직후 사회적 쟁점이 됐다. 우리 삶의 질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하는 과정이라고 본다. 2008년 이후 경제 사정이 안 좋아졌을 때 삶의 질을 걱정하고 염려한 결과가 복지 논란을 일으키고 선거에까지 반영됐다. 지난 2년을 돌아보면 정치도 행정도 그런 식으로 패러다임을 바꿔 가는 분주한 시기였던 것 같다.
→전반기 주요 사업의 성과는.
-우선은 도시농업이 서울에 뿌리내리는 데 선도적 역할을 했다.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더 가속화돼 우리 구의 도시농업도 더욱 각광받게 됐다. 자연과 함께하는 여유로운 삶, 공동체가 더불어 사는 삶을 원하는 도시민들의 성향이 반영된 것 같다. 또 하나는 제5차 보금자리사업을 계기로 지하철 9호선 연장과 고덕 업무상업지구 지정을 이끌어낸 것이다. 슬기롭게 수정안을 제시해 큰 갈등 없이 마무리됐다.
→지하철 9호선 연장은 어떻게 진행되나.
-정책적으로는 됐는데 재원 부담을 둘러싸고 서울시와 국토해양부 간 갈등이 있다. 시는 국토부에 미루고 국토부는 시에 미루는 상황이다. 9호선 연장은 주민들의 요구이자 5차 보금자리 수용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애초에 국토부가 이를 수용하고 합의한 것이니까 당연히 국토부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시에 미루는 건 무책임한 처사다. 지난해 9월 수정안을 제안했을 때의 정신으로 돌아가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교육 지원은 대부분 시설 지원이었다. 이를 학교 내 주체에 대한 지원으로 완전히 바꿨다.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측면으로 접근해 명문고 육성 프로젝트, 좋은 중학교 만들기, 자기주도학습 지원센터 사업 등을 진행했다. 특히 좋은 중학교 만들기 사업은 최근 학생 자살, 학교 폭력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우수 사례로 많이 소개됐다.
→임기 후반에 집중할 사업은.
-학교 밖 아이들에 대한 지원을 넓힐 생각이다. 학업 중단, 검정고시, 근로 등을 이유로 학교 밖에 있는 아이들이 우리 구에도 지난해 754명이 생겼다. 이 중 가정이 불우한 부적응 아이들은 결국 돌봄을 못 받고 떠돌게 된다. 그런 아이들에 대한 최소한의 지원을 위해 ‘학교 밖 아이들 지원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등이 지역에 뿌리내리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차분히 준비하고 있다. 또 민관이 힘을 모아 90세 이상 된 노인들의 생일잔치를 함께 챙기는 일도 해 나가고 싶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09-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