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도약하는 대학] ‘취업 명품’ 두원공과대학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00% 가까운 취업률… 여기 가면 ‘백수 끝’

“평균 취업률 96.7%, 교육생 60% 전문대 이상 학력” 두원공과대학 파주캠퍼스에 둥지를 튼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의 최근 3년간 성적표다.


두원공대 파주캠퍼스가 운영하는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에서 교육생들이 교수와 함께 실습 교육을 받고 있다.
두원공대 제공

2009년 국내 최초로 관·학 협력 직업 훈련기관으로 설립된 산업기술교육센터는 ‘백수의 고리’를 끊는 곳으로 정평이 나 있다. 파주 액정디스플레이(LCD)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경기 북부 지역 산업체의 기술·기능 인력 양성을 위해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전산 응용 CDA 설계를 비롯해 웹 콘텐츠 디자인, LCD 자동화 시스템, 스마트 네트워크 등 4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첫해인 2009년에 수료생 163명 중 153명이 취업에 성공해 93.9%의 취업률을 기록한 이후 2010년 98.8%, 2011년 97.3%로 매년 100%에 가까운 높은 취업률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까지 481명의 수료생 중 96.7%인 465명이 취업했다.

면접 및 인성 검사를 통해 취업 의지가 높은 교육생을 선발하는 데다 첨단 기술 중심의 실무 경험이 많은 전문가와 대학교수들이 강사로 나서고 대학 차원에서 새로운 일자리 발굴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이 성공 비결이다.

교육 및 기숙사비가 전액 무료인 데다 교육생에게는 매월 15만원의 훈련수당, 통학생에게는 월 5만원의 교통비가 별도로 제공되기 때문에 입학 경쟁률 또한 치열하다.

최근 3년간 2.4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센터의 교육생 가운데 60%가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다. 수년간 취업을 못 하고 있는 청년 실업자 위주로 교육생을 선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센터장을 맡고 있는 김형래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교육생들의 취업을 돕기 위해 매년 80개 이상의 새로운 취업처를 발굴하고 있다.”며 “앞으로 현재의 4개 교육 과정을 8개 과정, 400명 규모로 확대하고 교육생들이 안정적으로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전용 기숙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실 청년 실업난이 심각한 가운데서도 교육센터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두원공대의 전폭적인 지원과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두원그룹’이라는 든든한 버팀목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두원공대는 경기 북부 첨단산업단지의 거점 대학 역할을 하고 있는 파주캠퍼스(2008년 설립)와 기계, 자동차 계열 중심에서 보건·복지·서비스 분야로 넓혀 가고 있는 안성캠퍼스(1994년 설립) 등 2개 캠퍼스를 갖고 있는 공업계 중심의 전문화·특성화 대학이다. 두원그룹은 대학과 함께 자동차 관련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두원공대는 “기술 인재 육성이 곧 기술 입국이요, 기술 입국의 길이 나라를 위하는 길”이라는 건학 이념에 따라 전문 기술인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산학 일체형 교육과정을 도입해 직무 분석에 근거한 교육과정 혁신과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국내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교수 체제 설계 분야 국제표준화기구(ISO) 인증을 받는 등 직업 교육 혁신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특히 대학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일반 기업(756곳) 및 유관기관(123곳)과 산·학·관 협력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취업률이 높은 두원공대만의 자랑이다.

재단의 재정도 든든해 2010년 한 기관의 평가에서 지속 가능한 전문대학 3위를 차지했으며 올해는 전문대학 교육 역량 우수 대학으로 선정돼 수도권 대학 중 가장 많은 40억원의 국고를 지원받기도 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2-11-12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