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실크로드 시장단 포럼’ 유치 김충석 여수시장
“여수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세계적인 해양 도시로 부상한 전남 여수시가 이번엔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 항구가 될 것입니다.”전남 여수시는 지난 10일 터키 가지안테프에서 열린 제7회 실크로드 시장단 포럼에서 7개 도시를 따돌리고 내년 10월에 열리는 포럼 유치에 성공했다. 일본, 파키스탄 등의 도시도 한두 번 이상 도전, 유치에 실패했지만 여수시는 첫 도전에서 성공했다. 다음은 김충석 여수시장과의 일문일답.
→실크로드 시장단 포럼에 대해 설명해 달라.
-이 포럼은 실크로드가 통과했던 지역의 국가와 도시 간의 경제·문화적 교류 확대 및 관광개발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다. 초기에는 과거 실크로드가 속한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이 중심이 돼 지난 2006년 첫 포럼을 열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자원강국으로 떠오르자 전략적 필요성이 부각돼 현재는 유럽, 중동, 동북아시아에 이르는 30여개국의 주요 도시들이 참여해 규모가 확대됐다.
→유치 경쟁이 치열했다는데.
-당초 4개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8개 도시가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헝가리 헤비즈시,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시, 중국 리자오·우루무치시,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 팔레스타인 가자시, 러시아 몰타공화국과 힘겨운 경쟁을 치러야 했다.
→여수시가 포럼을 유치한 의미는.
-여수박람회로 높아진 인지도와 브랜드 가치를 통해 사회간접자본(SOC)과 잘 갖춰진 고급 숙박시설, 컨벤션 시설 등을 활용해 남도의 외딴 지역이 다시 한번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여수 포럼은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 대륙을 잇는 기존의 실크로드의 개념에서 벗어나 앞으로 ‘해상 실크로드’라는 신개념을 확립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번 포럼에 30개국 125개 도시에서 300여명이 찾아왔다. 각 도시 시장과 세계시민기구(WCO), UNDP 등의 책임자와 대사 및 각 분야 전문가 등이 찾아와 세계에 여수를 알릴 수 있다. 내년 여수 포럼은 40여개국 130여개 도시 시장을 비롯해 400여명이 5일간 여수시를 방문해 올해보다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여수시는 이들과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등 우리 시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도록 최대한 활용할 것이다.
여수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2-11-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