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위에서 먹고 일하고 놀고 자고… 1000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20년 뭉갠 부산롯데타워, 또 지연되나… 지역사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휠체어 끌어도, 무릎 아파도… 누구나 즐거운 ‘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알뜰교통카드 쓰던 경기도민 59% ‘경기패스’ 전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시선집중] (1) 강동구 ‘도시농업’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년만에 도시텃밭 10배 ‘쑥쑥’

매년 예산철이면 각급 행정기관의 실적이 도마에 오른다. 특히 올해는 대선과 맞물려 각종 공약 사업이 난무하면서 주민들은 우리 지역의 살림살이에 더욱 관심을 쏟는다. 서울신문은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서울 자치구별 공약 및 역점 사업의 진행 상황을 점검, 평가해 본다.


이해식 구청장이 지난해 3월 둔촌어린이집에 조성된 상자텃밭에서 아이들과 함께 모종을 하고 있다.
강동구 제공



‘도시’와 ‘농업’이란 이질적인 단어의 결합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 것은 그리 오래지 않은 일이다. 최근 도시농업은 도시민의 건강과 환경 개선, 교육, 공동체 회복을 위한 유망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에서 도시농업 선진 자치구로는 이견 없이 강동구가 손꼽히고 있다. 구는 선도적인 도시농업 정책으로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일 강동구에 따르면 구는 이해식 구청장 취임 직후인 2010년부터 핵심 공약사업으로 도시농업을 준비해 왔다. 지난해 3월에는 ‘친환경 도시농업 특구’를 선포하며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2020 친환경 도시농업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1가구 1텃밭 갖기’를 중심으로 지역 일대에 주말농장, 도시텃밭 등 8000여 계좌를 조성해 주민들에게 분양하고 주민 모두가 도시의 즐거움을 알도록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구는 프로젝트 초기인 2010년 226계좌였던 도시텃밭을 지난해에는 1600계좌, 올해는 2300계좌로 늘렸다. 현재 강동구 도시텃밭은 강일동·고덕동 등 5개 권역 총 10곳에 4만 4400여㎡가 조성돼 있다. 구는 이를 내년에 3800계좌로 늘리는 등 2020년까지 총 1만 계좌로 확대할 계획이다. 여기다 텃밭은 아니지만 옥상 등에서 밭작물을 기를 수 있도록 만든 상자텃밭을 꾸준히 보급해 2020년에 총 18만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일반 텃밭과 상자텃밭을 합해 총 19만개의 텃밭이 조성돼 강동구민 1가구마다 1개 이상의 텃밭을 보유하게 된다.

지난 2년간 강동구 도시텃밭 사업의 추진 성과는 일단 성공적인 편이다. 구는 텃밭 보급과 함께 다양한 도시농업 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진행하며 주민 동참을 이끌어 냈다. 농사에 처음인 주민들을 위해 농사 커뮤니티를 만들어 농사 기법과 농산물을 함께 나누는 공동체를 만들어 냈고, 이를 확대해 지난 7월에는 도시농업 박람회도 열었다. 또 지속적인 도시농업 향유를 위해 친환경 체험 농장 등을 운영하며 아이들을 위한 도시농업 교육을 꾸준히 실시했다. 친환경 도시농업 지원센터 건립도 앞두고 있다. 또 올해는 취약계층 등을 위한 배려텃밭을 운영하는 등 도시텃밭을 다양화하면서 주민들의 폭넓은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특히 강동구는 도시농업을 통한 도시 브랜드화 등 홍보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구는 최근 대한민국지방자치 경영대전 환경부장관상, 2012녹색성장 생생도시 종합우수상, 국민권익위원회 주최 고질민원 해결 우수상 등 환경 관련 상을 휩쓸고 있다. 여기다 도시농부 한마당 축제, 친환경 도시농업 축제 등 도시농업을 테마로 한 각종 지역 축제까지 개최하며 ‘서울 도시농업=강동구’라는 등식을 굳혀 가고 있다.

구는 도시농업이 단순한 친환경 여가활동을 넘어 미약하나마 식량 조달 방식의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구는 지역 내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을 학교 급식이나 공공기관 식당에 공급하는 방안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남춘미 구 도시농업기반조성반장은 “프랑스 300%, 영국 140% 등 선진국 대부분이 도시농업을 통해 식량 자급자족 비율을 높이고 있는데, 우리의 자급률은 25% 수준”이라며 “도시농업이 주민들의 삶의 활력은 물론 장기적인 국가 경쟁력 제고의 발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구청장은 “순환을 이루는 삶을 위해서는 생산과 소비, 자연과 도시가 균형을 이뤄야 한다.”면서 “도시농업을 환경은 물론 도시민들의 건강과 정서를 함께 증진시키는 사업으로 발전시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2-11-20 1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