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씨는 13일 “이전에는 어금니가 없는 상태에서 앞니로 대충 끼니를 챙기다 보니 어려움이 많았다.”면서 “하지만 어렵게 생활하다 보니 돈이 없어 틀니도 제대로 할 형편이 못 됐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마침 동 복지허브화 시범동으로 운영하고 있던 충현동 주민센터는 우씨의 딱한 사정을 파악하고 곧바로 복지 담당자들을 소집해 회의를 진행했다. 주민센터는 인근 치과에 문의해 무료로 임시 틀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했다. 아들과 생활하느라 기초생활수급비 60만원 가운데 월세 50만원을 내면 남는 것이 없어 무료 치료가 시급한 상황이었다. 우씨는 “이전에도 김장을 담가 보내주거나 음식을 전달해 줬지만 이렇게 어려운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도움을 준 데 대해 고맙고 감사했다.”면서 “세상이 좀 더 밝고 따뜻하게 바뀌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서대문구는 동 복지허브화 사업과 함께 지난해 1월부터 100가정 보듬기 사업도 펼쳐 주민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달 기준으로 이미 150가구가 99명의 후원자를 통해 4억원이 넘는 물품을 지원받았다. 서대문구 관계자는 “동 복지허브화 사업뿐만 아니라 아직 발굴하지 못한 저소득 가정을 돕기 위해 결연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2-12-1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