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임장관실 용역 보고서
정부 기관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가운데 네티즌의 관심이 큰 부처는 환경부와 국방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민간 기업과 비교하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27일 특임장관실의 용역보고서 ‘트위터상 정책여론 형성과정과 위기관리 로드맵 구축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2012년 9월 기준으로 43개 부처 가운데 페이스북 게시물 1건에 대한 평균 댓글 수가 가장 많은 부처는 환경부로 24.2개, 게시물에 ‘좋아요’를 가장 많이 누른 부처는 국방부로 평균 77.7개였다. 댓글 수는 환경부에 이어 보건복지부(21.0개), 산림청(20.1개) 등의 순이었고, ‘좋아요’도 국방부에 이어 보건복지부(72.8개), 산림청(61.8개) 등의 순이었다. 환경, 국방 등과 함께 민생과 직결된 복지, 레저 등과 연관된 산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음을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 부처의 게시물 1건에 대한 평균 페이스북 댓글은 20여개, ‘좋아요’는 70여개로 조사됐다.
트위터 계정을 운영하는 부처 가운데 팔로어 수가 가장 많은 기관은 청와대로 9만 3036명이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5만 8367명, 보건복지부가 4만 23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상위 10개 기관의 평균 팔로어 수는 3만 7000여명으로 팔로어 수 상위 10위 내 일반 기업이 평균 15만명인 것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 팔로어 수가 비슷한 일반 기업과 부처의 트위터를 비교해 보면 기업의 트위터 메시지 숫자가 정부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43개 부처가 트위터 메시지 한 개를 게재했을 때 리트위트되는 양은 평균 6.4개였다.
보고서는 현행 정부 기관의 트위터 운영이 정책의 일방적 전달에 치우치는 경향이 많은 ‘메가폰형’으로 정책 논의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슈 확산 초기 대응도 미흡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위기관리 측면에서 기관장의 신념이 반영된 입장 표명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더불어 기관과 기관장이 역할을 나눠 SNS상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