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주들 市 환지방식 지지 “구청장 고발 등 대응 검토”…구는 100% 공영개발 고수
서울 강남의 무허가 판자촌 구룡마을의 개발방식을 둘러싸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서울시와 토지주는 기존에 약속한 ‘수용·사용방식’에 ‘환지방식’을 추가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반면, 강남구는 ‘환지방식’을 제외해 100% 공영개발을 해야 한다고 맞서는 상황이다.
구룡마을 토지주들은 3일 서울 중구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추진하는 개발방식에 대한 지지와 함께 신연희 강남구청장에 대해 고발 등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011년 4월 구룡마을을 수용·사용방식으로 공영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해 6월 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수용·사용방식에 민영개발방식으로 알려진 환지방식을 추가했다. 수용·사용방식은 부지 개발 후 토지를 모두 수용한 뒤 소유주에 돈으로 보상하는 방식이며, 환지방식은 소유주가 개발비용 일부를 지불하는 대신 일정 규모의 땅을 받아 본인 의사에 따라 개발하는 방식이다.
시는 “SH공사 채무가 심각한 상황에서 환지방식을 도입하면 최대 400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분양가도 낮출 수 있다”며 “관 주도 강제수용 방식의 개발사업에서 거주민과 가구주 등이 함께 논의하는 개발을 추진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룡마을에 추가된 환지방식 비율은 전체 부지의 18% 정도로, 면적은 약 5만 4000㎡에 이른다.
이에 대해 토지주들은 “구룡마을은 국유지가 아닌 사유지인데 구가 장기간 땅을 소유한 사람들을 투기꾼으로 몰며 불법 점유자만 옹호하고 있다”고 반발해 광역단체와 기초단체, 해당주민 간의 3중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2013-04-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