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된 회현2시민아파트… ‘남산 랜드마크’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영남알프스 케이블카 꼭 설치… 울주 관광·경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이냐, 존치냐… 공론화 속도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클럽에 ‘물뽕’ 자가검사 스티커… 서울시, 유흥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단체장 발언대] 박춘희 송파구청장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소통·경청서 구정운영 지혜 얻는다


박춘희 송파구청장

“꼭 엄마에게 힘들다 속내 터놓고 얘기하는 딸, 아들 같아요. 그래도 투정 부리고 나니 기운이 막 솟네요.”

얼마 전 송파구 사회복지직 공무원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격무에 시달리는 우리 직원들의 애환을 듣고 그들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자리였다. 간부들을 배제한 채 진행된 소통의 시간, 직원들은 가슴속 이야기를 시작했다. 평소 얌전하게 업무만 할 뿐 꾹꾹 참고 지내던 직원들이 눈물까지 쏟으며 속내를 털어놨다. 정해진 시간을 훌쩍 넘겼지만 차마 그 자리를 매조지할 수 없었다.

이후 구청 인트라넷 게시판에는 다양한 반응이 올라왔다. ‘공무원 생활 중 이런 간담회 풍경은 처음’이라는 소회부터 ‘한바탕 눈물을 흘리고 나니 후련하기도 하고 관심과 애정 그 자체만으로도 힐링이 되는 것 같다’는 얘기들이었다. 주민들의 복지와 삶의 질을 생각하느라 정작 자신의 삶의 질, 가정의 복지는 밑바닥이라는 직원들. 그들에게 구청장은 뜨거운 눈물을 닦아주는 작은 손수건이었다.

건국 이래 첫 여성 대통령 취임을 계기로 여성 리더십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대단하다. 세계 각국의 성공한 여성 리더십들을 부각시키며 새 정부에 대한 기대와 열망을 표현하기도 한다. 핀란드의 타르야 할로넨 전 대통령은 ‘모든 판단의 기준은 국민’이라는 신념으로 2000년 취임 이래 12년간 재임했다. 재임 동안 ‘엄마’라는 애칭으로 핀란드 국민의 존경을 받았으며 퇴임 당시에는 80%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모든 지도자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야 한다’는 할로넨의 조언은 지도자가 갖춰야할 덕목과 여성 리더로서 가진 장점에 대한 그녀만의 자신감을 군더더기 없이 표현하고 있다.

바로 경청이다. 나 역시 취임 초기부터 무감어수 감어인(無監於水 監於人·물에다 자신의 얼굴을 비추지 말고, 사람에게 자신을 비추라)을 구정 신념으로 삼아 왔다. 표면적인 현상을 보기보다는 주민들에게 행정을 비춰보겠다는 의미다. 진정한 경청을 위해 주민들의 눈높이에 맞췄고 그들의 내면까지 읽기 위해 노력했다. 소통과 경청은 지역 사회의 변화를 일으키는 촉매가 됐다.

대체로 여성이 가진 경청 DNA는 남성보다 우월하다. 현장에서 주민들과 만나다 보면 남성 구청장에게는 하기 쉽지 않은 이야기도 허심탄회하게 풀어놓곤 한다. 물론 듣기 싫은 말도 있다. 하지만 경청의 과정에서 구정 운영의 지혜를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개인의 능력이라기보다는 여성으로서 소통 우위에 있다는 해석이 맞는 것 같다.

새 정부 출범 한달이 지나갔다. 대통령은 국정의 중심을 국민 개개인에 두고 소통으로 정부를 운영하겠다고 천명했다. 국민 중심 행정을 강조하며 민원의 적극적 해결을 주문하기도 했다. 후보시절 ‘국민과 함께 답을 찾는’ 경청의 자세가 그대로 이어진 듯 보인다. 하지만 이런 국정 기조를 지속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산적한 현안들 속에서 민생의 소리가 아득하게 들릴 때도 있는 노릇 아닌가.

그럴 때일수록 여성 특유의 리더십을 발휘해 더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작은 목소리까지 일일이 경청하기 어렵다면 지역 구석구석에서 주민들과의 소통을 업으로 하는 여성 단체장들의 대언을 듣는 방법도 있다. 그들 대부분은 짧지 않은 시간 주민들의 땀과 눈물을 훔쳐 온 ‘젖은 손수건’이기 때문이다.

2013-04-05 16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