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교육·홍보 전문성 강화
안행부는 범국민적인 안전문화 확산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전문기구로, 안전문화진흥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어린이·학생들에 대한 안전 관련 교육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안행부에서 논의되고 있다. 각 부처마다 제각각 운영하고 있는 안전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을 일원화하는 것도 안전문화진흥원 설립이 필요한 이유인 것으로 해석된다.
안행부는 민·관 공동기구인 안전문화운동추진중앙협의회를 발족하고 송자 전 연세대 총장과 유정복 안행부 장관을 공동대표로 위촉했다. 중앙협의회는 향후 2~3년의 운영기간을 거친 뒤 민간기구로 성격을 전환하고, 안전문화진흥원이 협의회의 사무국 기능을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협의회는 안전문화 관련 로고와 슬로건을 오는 18일까지 공모하는 등 활동을 시작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과거에는 각종 문화 운동을 하면 반짝하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면서 “체계적인 홍보, 관련 컨설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진흥원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행부는 이 밖에 현재 추진 중인 읍면동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10개 지역을 ‘안전마을’로 선정해 지원한다. 이들 지역에는 초기 운영비로 5억원씩 지원되고 활동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가 지원될 예정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06-0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