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말 지킴이 ‘강릉사투리보존회’
“강릉이래요. 감자전과 감재적이 우떠 다른지 아시우?”31일 강릉사투리보존회에 따르면 강릉사투리보존회와 강릉단오제위원회, 서부·성남시장 감자전축제위원회는 최근 ‘감자전’을 강릉 사투리인 ‘감재적’으로 표기하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강릉 사투리로 감자는 ‘감재’고 전은 ‘적’이다. 그래서 ‘감자전’이 아니라 ‘감재적’이 된 것이다.
성남시장에서 해마다 여름이면 개최하는 감자전 축제도 ‘감재적 축제’로 이름을 바꾸기로 했다. 식당에서 감재적으로 표기를 변경하고 각종 지원을 요구할 때는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조남환 강릉사투리보존회장은 “세월이 지나서 감재적은 추억으로 남고 감자전으로 변해 사람들이 감재적 대신 감자전이라고 부르는 게 참 어엽잖소. 그래서 훈훈한 정으로 먹는 느낌을 살리고 정감 있는 고향을 한번 살고 볼라고 감재적으로 사용하기로 했잔우”라고 밝혔다.
조 회장은 최근 발간한 수필 ‘감재적과 감자전’에서 구분법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울퉁불퉁 못생긴 감재를 강판에 갈아서 부친 것은 감재적이고, 동글동글 잘 생긴 감자를 믹서기에 갈아서 부친 것은 감자전이다. 솥뚜껑에 엎어 놓고 할멍이나 어멍이 부친 것은 감재적이고, 프라이팬에 식당 아줌마가 부친 것은 감자전이다. 기름 방망이를 들깻잎에 돌돌 말아 흰 실로 칭칭 감아서 사용하면 감재적이고, 솜이나 스펀지에 헝겊을 말아 사용하면 감자전이다. 풋고추나 묵은 지를 손으로 찢어 부치면 감재적이고, 식칼로 썰어서 부치면 감자전이다. 이런 식으로 구별해 놓은 것이 무려 17가지다.
이처럼 강릉사투리보존회 활동은 활발하다. 2006년 사단법인으로 출발한 강릉사투리보존회는 단오 행사 때마다 강릉사투리대회(19회)를 열어 인기다. 2012년부터는 중3 국어 교과서에 김상용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라는 시가 강릉 사투리 버전으로 바뀌어 등재되고 있다. 이후 ‘사투리 개그 콘서트 공연’과 ‘다문화가족 우리말 겨루기 대회’ ‘강릉 사투리 오페라 공연’ 등을 통해 강릉 사투리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발전하고 있다. “마커 사그러질 뻔한 우리 강릉 사투리 문화를 대대로 이어 갈라문 이런저런 사투리 행사를 마이 맹그러야 하지 않겠소.” 조 회장은 구수한 강릉 사투리로 말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 사투리 풀이
*어서오시우야:어서오세요.
*강릉이래요:강릉입니다.
*우떠:어떻게
*아시우?:아세요?
*지내서:지나다 보니
*어엽잔쏘:안타깝잖아요.
*했잔우:했어요.
*할멍:할머니
*어멍:어머니
*살고:살려
*마커:전부
*사그러질뻔:사라질뻔
*마이:많이
*갈라문:갈려면
*맹그러야:만들어야
*않겠쏘:않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