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마을 주택 재생 사업 등 호평
“한 달에 10팀 이상이 장수마을의 주택재생 이야기를 배우러 옵니다.”
|
동네목수는 정부 공모사업을 받아 2011년 7월 탄생했다. 노후된 집이 많지만 굴착기도 들어올 수 없는 좁은 골목, 가스도 들어오지 않는 마을을 스스로 변화시키자는 의지가 모태였다. 배 대표는 “276동의 집 중 지난 4년간 40여곳을 리모델링하거나 수리했다”면서 “70세 이상 노인이 마을 인구(600여명)의 65% 이상이고, 땅을 파면 암반이어서 어려움도 많았지만 꾸준히 진행한 결과 2명이던 직원은 9명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배 대표는 “2013년 12월에 가스가 들어오고 많은 지자체와 외국에 벤치마킹이 되면서 집값이 올랐고 일부 세입자가 집을 잃는 상황도 있었다”면서 “이에 따라 집 수리 지원을 받으면 4년간 세입자를 내보내지 못한다는 조항을 넣었다”고 말했다.
2012년부터 이날까지 사회적 경제를 배우기 위해 구를 다녀간 곳은 71개에 이른다. 독일, 중국, 일본,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에서도 마을공동체나 사회적 기업을 배우기 위해 들렀다. 이달 초에는 부산시 북구 의회 및 공무원 20여명이 장수마을, 사회적경제허브센터, 성북동역사문화지구 등을 둘러봤다. 이제 구는 지자체 사이에서 ‘사회적경제 사관학교’로 불린다.
올해는 마을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것이 목표다. 주민이 직접 총회를 열어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제도로, 이를 통해 구는 주민자치가 주민참여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영배 구청장은 “2~5개동에서 마을 총회를 개최하는 등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며 관 주도가 아니라 시민이 행정을 주도해 궁극적으로 행정과 마을이 통합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02-0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