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철거 경비 절약·일자리 창출 목적” 시민단체 “사행성 사업 우려” 반발
강원도가 2018평창동계올림픽 빙상경기장의 사후 활용 방안으로 ‘아이스더비’(경빙) 도입을 추진하면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
이 같은 낭비를 막고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사후 활용 방안을 검토하면서 도는 최근 5000억원대의 중동 자금을 끌어들여 아이스 더비 도입을 타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경기장 사후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지방세수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의 긍정적인 효과까지 기대하고 있다. 관람객 증가에 따른 알펜시아의 객실 이용률 상승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아이스 더비는 스피드스케이팅(400m)과 쇼트트랙(110m)을 접목시킨 프로 빙상 경주로, 220m 길이의 아이스링크에서 스피드스케이팅과 쇼트트랙 선수들이 함께 경기를 펼치면 관객들은 경마, 경륜처럼 경기에 베팅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일부 도민들은 “사후 철거되는 낭비를 막고 지역 경제 효과까지 기대되는 발상”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하지만 벌써 사행성 사업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미 국내에서는 2011년 제주 출신 국회의원들이 제주도에 도입하기 위해 법률안까지 발의했지만 사행 산업 및 도박 중독을 우려하는 시민단체 등의 반대 논란에 휩싸이면서 무산된 바 있다. 지역 환경운동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빙상경기장의 사후 활용 방안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행 산업을 도입해 경기장을 존치시키려는 발상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5-05-2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