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승생 저수지 유입량 절반 누수
지방자치단체가 벌이는 각종 사업이 여전히 부실하게 추진되고 있다. 지자체 관계자 중 책임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 이런 일이 반복되기 때문에 감사 등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어승생 제2저수지는 총 50만t 규모로 2010년 4월 착공해 사업비 458억원을 투입, 2013년 2월 완공됐다. 중산간 지역 2377가구 8627명과 목장 일대에 하루 1만 5000t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하루 유입량 1만 5000t 중 절반에 달하는 7000~8000t이 누수되는 것으로 추정돼 부실공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도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 점검을 의뢰한 뒤 보수공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시 아라지구 도시개발사업도 잘못된 계획과 설계 등으로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다. 시는 2008년 개발계획을 수립하면서 92만 5547㎡ 부지에 공사비 551억 7100만원을 포함해 총사업비 747억 3100만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계획했다.
시는 재원 확보를 위해 감보율(지구 개발 시 토지주로부터 땅을 받는 비율)을 48.7%로 설정했고 체비지 13만 962㎡를 매각하면 860억원이 넘는 사업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2009년 2월 수립한 실시설계에서는 공사비만 873억 4900만원으로 산정돼 사업비 부족 문제가 우려됐다.
그럼에도 시는 재원 확보를 위해 감보율 상향 조정 등 사업계획을 보완하거나 수정하지 않고 2009년 4월 공사를 강행, 사업비가 당초 747억원에서 974억원으로 200억원 이상 불어나면서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다.
제주 경실련 좌광일 사무처장은 “부실 사업은 시민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가지만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있다”며 “철저한 감사 등을 통해 부실사업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5-07-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