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학대 비판에도 ‘소싸움 대회’ 강행 논란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우여곡절 끝에… 새만금국제공항 내년 초 첫 삽 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공공기관장 임기 만료·공석 77곳… ‘역대급 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강서 방화근린공원 빛의 축제 오세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특수재난 분야 담당자 ‘협업’ 교육 왜?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전문 지식 부족·초기 대응 부실

2012년 9월 27일 발생한 경북 구미시 불산 누출 사고는 어이없게도 사망 5명과 18명 부상이라는 피해를 불렀다. 불산과 같은 특수한 화학물질에 대한 전문 지식 부족으로 초기 대응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전문적으론 ‘불화수소’라고 불리는 불산은 공기, 물과 접촉하면 불화수소가스가 발생해 폭발할 수 있다. 원인을 모르는 터여서 소방관들은 진압 때 화학보호복을 착용하지 않은 채 투입돼 현장을 바라보고만 있는 처지였다. 독성을 누그러뜨릴 중화제도 턱없이 모자랐을뿐더러 이미 늦은 뒤였다.

지난 12일 중국 톈진항 폭발 사고도 비슷한 상황에서 참극으로 번졌다. 원인을 모를 차량 화재 뒤 초기 진화를 위해 뿌린 물 때문에 오히려 위험물(탄화칼슘)과 반응해 1차 폭발을 일으켰다는 게 중론이다.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강력한 폭발성을 띤 아세틸렌가스를 생성한다. 1차 폭발 뒤 원인을 모르던 차에 아세틸렌 폭발에 의해 형성된 불길이 보관 중인 질산암모늄과 질산칼륨에 옮겨붙어 대규모 2차 폭발로 이어졌다. 질산암모늄은 주로 비료를 만드는 재료이지만 섭씨 200도 이상 가열되면 치명적인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상존하는 위험을 몰라 주거지역 이격거리(1㎞)를 지켜야 한다는 데는 생각이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사회재난, 자연재난과 함께 3대 재난으로 꼽히는 특수재난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특별한 물질이 원인이다. 화학물질, 방사성물질, 세균, 바이러스, 핵, 고성능 폭약 때문에 발생한다.

국민안전처는 26~28일 충남 천안시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에서 ‘특수재난 관리 교육과정’을 시범운영한다. 특수재난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협업엔 꿈도 꾸지 못해 피해를 키우는 사례를 줄이자는 취지다. 지난해 11월 안전처 출범 이후 특수재난실을 신설한 목적과도 맞닿았다. 안전처를 컨트롤타워로 재난관리책임기관인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 소속된 특수재난 분야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문교육과정이다. 특히 특수재난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특수재난실 소속 담당관 및 사무관들이 대부분 직접 강사로 참여하는 체감형 교육이다. ‘특수재난의 이해’, ‘기능별 재난대응 협업체계 구축’ 등 직무 분야 12개 과목과 소양 분야 2개 과목으로 구성된다. 교육은 특수재난에 대표적인 유형으로 불리는 도로·지하철·철도·해양선박 등 관련 대형 교통사고, 유해화학물질 등 관련 환경오염 사고, 감염병 재난, 가축 질병, 원자력 안전사고 등 8개 분야에 집중된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한층 많은 특수재난 분야 종사자들의 참여를 돕도록 시범과정을 바탕으로 내년엔 정규 교육과정을 편성하겠다”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8-25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