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지식 부족·초기 대응 부실
|
지난 12일 중국 톈진항 폭발 사고도 비슷한 상황에서 참극으로 번졌다. 원인을 모를 차량 화재 뒤 초기 진화를 위해 뿌린 물 때문에 오히려 위험물(탄화칼슘)과 반응해 1차 폭발을 일으켰다는 게 중론이다.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면 강력한 폭발성을 띤 아세틸렌가스를 생성한다. 1차 폭발 뒤 원인을 모르던 차에 아세틸렌 폭발에 의해 형성된 불길이 보관 중인 질산암모늄과 질산칼륨에 옮겨붙어 대규모 2차 폭발로 이어졌다. 질산암모늄은 주로 비료를 만드는 재료이지만 섭씨 200도 이상 가열되면 치명적인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상존하는 위험을 몰라 주거지역 이격거리(1㎞)를 지켜야 한다는 데는 생각이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국제적으로 사회재난, 자연재난과 함께 3대 재난으로 꼽히는 특수재난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특별한 물질이 원인이다. 화학물질, 방사성물질, 세균, 바이러스, 핵, 고성능 폭약 때문에 발생한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한층 많은 특수재난 분야 종사자들의 참여를 돕도록 시범과정을 바탕으로 내년엔 정규 교육과정을 편성하겠다”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8-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