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노선변경 허가로 급물살
서울역 고가 폐쇄가 다음달 13일 0시부터로 늦춰졌다. 서울지방경찰청의 교통안전시설 심의가 끝나지 않았고 시민 홍보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토교통부가 25일 서울역 고가 노선변경을 허가, ‘서울역 고가 공원화’ 사업에는 청신호가 켜졌다.
|
서울시는 서울역에서 퇴계로 방향 또는 숙대입구에서 한강로 방향으로 좌회전 신호를 신설하는 내용 등 교통대책을 경찰에 제안한 상태다. 출퇴근 시간대 서울역 일대를 통과하는 시간이 7분 정도 더 걸릴 전망이다. 이 부시장은 “고가 차량통행 금지로 인한 시민 불편을 더 철저히 예방할 수 있게 경찰과 협의하겠다”며 “시민 불편에 고개 숙여 양해의 말씀을 올리며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폐쇄 결정에 많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난제는 남아 있다. 국토부는 “서울역 고가가 아닌 우회도로를 쓰는 것을 승인한다는 의미지, 교통대책에 문제가 없다거나 공원화를 승인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 “노선변경은 가능하나 이로 인한 교통대책은 서울시가 경찰청과 협의하고, 도로의 공원화 등 기존 도로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려면 철도시설공단 등과 협의해 철도안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즉 서울역 고가의 공원화 사업을 승인한 게 아니라는 의미다.
경찰 심의도 통과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24일 문화재청 문화재심의위원회가 문화재(옛 서울역사) 현상변경 심의를 보류하고 내년 1월로 결정을 미룬 것도 걸림돌이다.
하루 4만 6000여대 차량이 이용하는 서울역 고가 폐쇄 시점을 하루 만에 번복한 것은 다급한 서울시가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이다. 시가 차량 통제를 제한하려면 원래 신호 신설과 차선 도색 등에 시일이 걸리는 것을 알면서도 국토부와 경찰의 조속한 심의를 촉구하는 차원에서 29일 0시 폐쇄 강행을 고수하면서 시민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해석이다. 시 관계자는 “29일 폐쇄 일정은 공식 발표가 아니고 심의가 안 날 경우 내부적으로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계획이었다”고 변명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류찬희 기자 chani@seoul.co.kr
2015-11-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