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절반 비오고 예년보다 기온 높아
11월 고온다습한 이상 기온으로 곶감 농가들이 곶감을 전량 폐기하는 등 직격탄을 맞았다. 영동과 함양, 완주군 등 지방자치단체들은 제습기 등 곶감건조·가공 시설에 긴급 예산을 투입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또 곶감 농가 지원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2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올 11월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3~4도 높고 가을비가 평년 8일에 비해 16일로 두 배 더 자주 왔다. 일조량은 40% 감소했다. 곶감 농가들은 선풍기, 환풍기, 난로 등을 모두 동원했으나 적정 습도 40~60%를 맞출 수 없었다.
충주, 보은, 옥천, 영동, 괴산 등 도내 5개 시·군 곶감농가 1986곳 가운데 무려 95.8%인 1903곳이 피해를 보았다. 자연건조 방식으로 곶감을 말리던 농가들은 습기로 곶감에 곰팡이가 생기고 물러터져 쑥대밭이 됐다.
|
곶감 농가 피해는 전국적이다. 전남지역 최대 곶감 생산지인 장성군도 감 재배 농가 180여곳 중 139곳에서 37만여개의 곶감을 폐기처분할 처지다. 전북 완주군도 곶감 농가 600곳 중 4가구를 제외하고 곰팡이와 낙과 피해를 봤다. 99%의 곶감을 폐기해 피해액이 70억원이 넘는다. 완주에서 곶감 곰팡이 피해는 30여년 만이다. 경남 함양군에서는 660여 농가가 20만여접(2000만개)의 감을 깎아 건조했으나 이 가운데 6만접(600만개)의 곶감이 곰팡이가 나 추가적인 곶감 생산을 중단했다.
영동군도 3억원을 들여 전기온풍기·제습기 100대를 공급하고 곶감 건조시설과 가공장비 지원에 21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11억원의 단기 운영자금, 전천후 곶감건조시설 확충 15억원 등 125억원의 예산 지원 등을 담은 지원대책도 내놓았다. 함양군도 당장 필요한 전기온풍기와 난로, 제습기, 대형 선풍기, 환풍기 등의 건조 장비를 지원하려고 예산 3억원을 내놓았다. 완주군은 내년에 3억 5000만원을 들여 저온 저장고를 설치하기로 했다.
곶감 농사를 망쳤지만 곶감은 2차 가공품으로 분류돼 농작물 재해보험이나 정부의 재해피해 지원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다. 박우양 충북도의원은 “곶감을 ‘농어업재해대책법’에 포함시켜 재해 때 정부 등에서 지원받을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함양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5-12-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