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배곧 국제캠퍼스 차일피일에 반발… “내년 착공 안 할 시 소송 제기” 서명 전달
서울대가 경기도 시흥 배곧신도시에 국제캠퍼스를 조성하기로 한 약속 이행을 차일피일 미루자 자치단체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더욱이 ‘서울대 효과’를 노리고 조성된 배곧신도시에 입주한 주민들은 서울대 측이 미온적 반응으로 일관하자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배곧신도시(490만㎡) 가운데 교육·의료복합용지 66만 2000㎡에 국제캠퍼스와 500병상 규모의 서울대병원이 들어서기로 돼 있다.
시는 캠퍼스 부지를 민간사업자에게 매각하고 사업자는 부지 내 주택용지(20만㎡)를 개발한 이익금으로 서울대 측에 캠퍼스 부지는 물론 시설까지 건립해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서울대 입장에서는 공짜로 캠퍼스를 확보하는 것과 마찬가지지만 국제캠퍼스 콘텐츠와 운영 방안을 둘러싼 내부 의사결정 지연으로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실시협약을 계속 미루고 있다.
서울대 캠퍼스 조성이 물거품이 될까 불안해진 배곧신도시 입주민들은 시흥시민연대를 결성, 5600여명의 서명을 받아 최근 서울대에 전달했다.
유호경 배곧신도시입주자연합회장은 “허허벌판인 이곳에 아파트를 분양받은 것은 서울대 캠퍼스가 들어온다는 이유 하나 때문이었다”면서 “내년에 착공하지 않을 경우 서울대와 시흥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배곧신도시에서 아파트·오피스텔·상가 등을 분양한 업체들은 모두 ‘서울대 시흥캠퍼스’를 최대 무기로 마케팅을 벌였다. 배곧신도시는 ‘서울대 신도시’라는 별칭까지 생겼다. 인근이 공장지대인 이곳에 아파트 분양이 잘된 것도 이 때문이다. 배곧신도시에는 올해 입주한 2856가구를 포함해 모두 2만 1000가구가 들어선다.
배곧신도시 분양가에 서울대 캠퍼스 조성비가 포함된 것은 물론이다. 이 때문에 캠퍼스 개교가 늦어지거나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심각한 집단민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5-12-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