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문화재청 세계유산 속도
한성백제 왕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 복원 작업을 대상지역을 좁혀서 본격 추진한다.
|
시 관계자는 “최근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외곽 절개조사 과정에서 해자를 발견하면서 한양 백제의 왕성일 가능성이 더욱 커졌고, 의례용기와 청동초두 등 상류층이 쓰던 유물이 다수 발굴된 점을 미뤄 상당히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상 대상 가구는 보상을 신청한 2·3권역 880여 가구와 핵심 지구에 포함된 500여 가구 등 1300여 가구다. 보상가는 감정평가액이 기준이고, 핵심 지구의 건물은 8억~10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보상에는 국비와 시비를 각각 7대3으로 나눠 2855억원을 투입하고, 추가로 서울시가 지방채 2282억원을 발행해 모두 5137억원을 투입한다. 시가 발행한 지방채는 앞으로 문화재청이 보전한다. 내년 풍납토성 보상비는 올해보다 71억원 늘어난 571억원으로 확정했다.
복원 사업의 걸림돌로 지적되던 삼표레미콘 공장 이전도 빠르게 추진한다. 시는 삼표레미콘이 협의에 불응하면 내년 상반기 중 토지 수용조치를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예산에 일괄보상비 705억원을 편성했다. 풍납토성 내 유적에 대해 처음으로 기획 발굴도 추진한다. 재건축 사업을 추진하다가 유적 추정지가 발견되면 발굴하는 등 기존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교체한 것이다.
신규 발굴지역은 발굴 단계부터 보호각을 설치해 ‘현장박물관’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2017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재하고 2020년에는 등재작업을 완료하는 등 속도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5-12-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