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남구 장생포 고래문화마을에 설치된 ‘느린 우체통’이 관광객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느린 우체통은 고래문화마을 내 1970년대 장생포를 재현한 ‘장생포 옛마을’에 지난달 14일 설치됐다. 느린 우체통에는 설치 1개월여 만에 100여통의 편지와 엽서가 접수됐다. 모두 손으로 정성껏 쓴 편지와 엽서다.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들과 연인, 자기 자신에게 전하는 소중한 마음들이 담겼다.
남구도시관리공단은 관광객들이 정성스럽게 쓴 편지와 엽서를 오는 31일 일괄 발송할 예정이다. 공단은 고래문화마을에서 우표와 엽서·편지를 판매하고 있다. 우체통은 ‘일반’과 ‘느린’ 두 종류가 있다. 일반 우체통에 접수된 엽서는 매주 화요일 발송되고, 느린 우체통에 접수된 엽서는 공단에서 정한 특정일에 발송된다. 올해는 마지막 날인 31일에 발송될 예정이다.
울주군 간절곶 해맞이공원에 설치된 소망우체통도 연간 수만에서 수십만장의 엽서가 접수되면서 인기다. 소망우체통은 2006년 12월 22일 높이 5m, 폭 2.4m 규모로 설치됐다. 매년 해돋이 행사 때 희망과 소원, 애틋한 사연을 담은 엽서를 많이 쓴다. 엽서를 소망우체통에 접수하면 소원을 성취할 수 있다는 설도 있다. 수취인은 가족, 연인, 친구, 친척, 돌아가신 부모 등이 주를 이룬다. 돌아가신 부모 등에게 띄우는 엽서는 수취인 주소가 없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