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전문기업 ‘한우물’ 창사 30년
‘전기분해 방식의 직수형 정수기’로 유명한 ㈜한우물이 창사 30주년을 맞아 만든 약알칼리수(pH 7.4~8.5) 음료가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0월 처음 생산을 시작한 약알칼리 음료수 ‘나처럼’은 목 넘김이 매우 부드러워 시장 반응이 뜨겁다. 물맛은 물 분자의 크기, 미네랄량, 이물질 여부 등에 크게 좌우된다. 속리산 땅속 250m에서 뽑아 올린 암반수를 전기분해해 이 같은 조건을 충족했다.강송식 한우물 대표가 21일 경기 고양의 사무실에서 약알칼리수의 장점 등을 설명하고 있다. 20년간 교직 생활을 했던 그는 건강이 악화하자 교편을 내려놓고 물을 연구해 정수기를 만들었다. |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우물의 ‘약알칼리수 음료시장’ 진입 도전은 단골이 잘 바뀌지 않는 높은 고객 만족도를 바탕으로 4년째 흑자를 내는 등 경영이 안정 궤도에 올라서면서 시작됐다. 높은 고객 만족도는 경쟁 제품과의 차별성과 기술력에서 비롯된다. 국내 정수기 시장은 C사, W사 등 대형 업체들이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국내 200여개 업체 가운데 대형 업체들과 겨룰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곳은 많지 않다.
자고 일어나면 시장 판도가 뒤바뀌는 정수기 시장에서 한우물이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넓혀 가고 흑자를 이어가는 것은 좋은 물 확산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강송식(77) 대표의 고집스러운 경영철학이 빚어낸 ‘노하우’ 때문이다.
한우물 정수기는 경쟁 제품들과 모든 면에서 다르다. 경쟁 제품들은 대부분 냉온수 겸용, 얼음 기능 등 사용 편의 개발에 집중했다. 이러한 제품들은 역삼투압 정수방식을 채택해 냉온하는 과정에서 물을 물통에 저수할 수밖에 없다. 저수 방식은 공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고 위생에 취약하다. 필터 과정을 거쳐 이물질을 제거하지만 몸에 좋은 미네랄까지 모두 걸러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 대형 업체들도 직수형을 도입하려고 시도하는 이유다.
독일 본 대학 마르틴 엑스너 교수는 “미네랄이 너무 빠진 물은 pH가 낮은 산성으로 식수로 부적합하다”고 밝힌 적이 있고, 국제물학회 미네랄 연구팀의 잉그리드 로스버그 박사는 “일반적으로 암 환자의 대부분이 산성인 경우가 많다”고 했다. 한우물의 전해 약알칼리수를 음용하고 건강을 회복한 ‘국민성우’ 배한성씨가 있다. 배씨는 3년 전 한우물을 접하고 잃었던 건강을 되찾은 뒤 무료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무좀, 가려움증, 아토피, 변비, 비염 등에 효과를 봤다는 사람들도 많다. 2012년 2월 대한아토피협회로부터 아토피 안심마크를 획득했다.
1985년 12월 창업한 한우물은 1987년 국내 최초 전기분해 방식의 정수기를 개발해 특허권을 갖고 있다. 까다롭기로 유명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정수기로는 세계 최초로 2004년 7월 의료기기로 등록됐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6-03-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