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안에 이런 ICT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고지와 핀테크 기반의 지능형 세정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연말쯤 시범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특히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하지 않고 이미 대중화된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을 활용할 예정이어서 도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이 지방세에 대한 각종 궁금증에 답해주는 지능형 세정상담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지방세의 궁금한 점을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앱 상담창에 문자로 질의하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답변하는 방식이다. 핀테크 결제와 지능형 상담서비스는 종이고지서에 인쇄된 바코드를 통해서도 스마트폰과 연계된다. 스마트고지서에는 경기도와 시·군별 정책과 소식을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별로 안내하는 ‘맞춤 소식 알림 서비스’도 탑재할 예정이다.
카카오톡과 네이버와는 긍정적으로 협의하고 있으며, 관련 사업 예산은 국비 공모사업에 선정돼 13억원을 확보했다. 경기도는 종이고지서와 이메일 외에 스마트폰으로도 지방세를 고지하고 납부할 수 있도록 지방세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줄 것을 행정안전부에 요청해 놓았다. 스마트 고지서 서비스가 시행되면 종이고지서를 통합 현행 납부방법보다 최대 11단계 이상 납부절차가 간소화되고, 고지발송 비용도 많이 감소할 전망이다.
서보람 경기도 정보화 기획관은 “2014년도 지방세 고지서 3700만건을 발송하는데 166억원이 소요됐으며 이를 스마트고지서로 50% 고지했을 때 약 59억원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