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도구 기법은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소의 건강도시 전략의 일환이다.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실행해야 할 우선순위를 작성하고서, 필요한 사항이나 문제점을 확인하는 기법이다.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 해외 건강도시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법이다. 국내에선 관리자급 공직자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것이 강동이 최초다.
워크숍에선 건강 도시를 위해 직원들이 내놓은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졌다. ‘자꾸 걷고 싶은 계단’ 만들기, 산책 타임제 운영, 건강 100세 상담센터를 이용한 아동건강권리 증진 등 5건의 우수 아이디어가 뽑혔다.
구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의장 도시로서 ‘모든 정책 내 건강’을 모토로 하고 있다. 전 부서에서 정책 수립 시 주민 건강을 우선 고려해 사업을 계획, 실행하고 있다. 주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21개 주요 부서를 선정하고 태스크포스팀도 구성했다. 아울러 열린토론회, 건강도시 추진 보고회, 마스터플랜 책자 발간 등을 추진해왔다.
올해부터는 주민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해 ‘활동적인 생활 환경’을 조성하고자 18개 동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1동 1건강 프로그램’ 만들기, 동별 걷기대회 등 주민 주도의 사업을 역점 추진할 계획이다.
이해식 강동구청장은 “지속 가능한 건강도시 강동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렴하고 정책 추진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