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5년까지 2조 8000억원(공공 1조 1000억원, 민자 1조 7000억원)을 투입해 한강 잠실지구와 잠실종합운동장 일대 41만 4205㎡를 전시·컨벤션, 스포츠, 수변 문화·여가, 공연·엔터테인먼트가 어우러진 국제 마이스(MICE) 거점으로 개발한다고 25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종합운동장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수변 문화·여가, 스포츠 기능을 집중하고 남쪽은 전시·컨벤션·숙박 등의 마이스 시설이 들어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먼저 자동차 중심으로 설계된 한강과 탄천변 일대를 걷기 좋은 공간으로 바꾼다. 올림픽대로 400m와 탄천 동·서로 300m 구간을 지하화한다. 또 종합운동장에서 한강변으로 연결되는 데크를 설치하고, 탄천변의 1800대 규모의 주차장도 분산 이전한다.
종합운동장에서 한강으로 이어지는 데크 끝에는 마리나 등 수상레저 시설이, 데크 위는 카페, 문화시설 등이 설치된다. 한강 둔치는 물놀이 시설, 피크닉·캠핑장 등 여가시설로 꾸며진다. 탄천변도 여가와 휴식 위주의 도심형 수변공간이 된다. 특히 삼성동~종합운동장을 잇는 탄천 보행교는 건축물과 교량을 일체로 해 국제교류복합지구의 랜드마크로 만든다.
종합운동장 남측의 마이스 단지에는 전용면적 10만㎡ 이상의 전시·컨벤션 시설과 1500실 규모의 특급 호텔이 들어선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인근 코엑스와 세텍(SETEC), 현대차 GBC 등과 함께 19만 5000㎡ 규모의 도심 마이스축이 된다”면서 “독일 하노버 세빗(CeBIT)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처럼 브랜드화된 대형 전시회 공간으로 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종합운동장은 리모델링해 판매·편의시설, 박물관, 스카이데크 등 부대시설을 설치한다. 주변에 250실 규모의 유스호스텔도 조성된다. 야구장은 북서쪽 한강변으로 옮기고 관람석을 3만 5000석으로 확대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잠실야구장을 돔으로 만들거나 한강변에 바짝 붙여 미국 샌프란시스코처럼 홈런볼이 장쾌하게 한강에 퐁당 빠지게 하는 등의 아이디어를 검토했지만 비용이 30% 이상 추가돼 강변 안쪽에 건설하는 쪽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체육관과 수영장은 통합해 실내 경기와 공연이 가능한 콤플렉스로 건설된다.
사업은 2019년 학생체육관과 수영장 철거, 전시·컨벤션 시설, 호텔 신축 등 1단계 사업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유스호스텔과 보조경기장 신축, 마리나 등 한강과 탄천을 개발하는 2단계 사업, 2025년까지 야구장 이전과 전시·컨벤션 시설 등을 건립하는 3단계로 진행된다. 시는 이 사업으로 연 15조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일자리 8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