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광·농업 융합 명품도시 10년 후 한·중산단으로 발돋움…국책사업 재정·제도 지원 절실”
송하진 전북지사는 29일 “앞으로 10년 후 새만금은 국가경제발전을 주도하고 대중국시장 관문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미래 청사진을 밝혔다. 송 지사는 “새만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속도’가 중요하다”며 “새만금은 국가가 책임지고 개발해야 하는 국책사업인 만큼 확실한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현재 새만금 개발 상황에 대한 견해는.
-새만금은 25년째 공사 중이다. 같은 해 착공한 상하이 푸둥 지구는 이미 중국 개혁·개방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내부개발에 좀더 속도를 내야 한다. 새만금은 한·중 경협단지 추진 등으로 개발의 호기를 맞았다. 이때를 놓치면 안 된다.
→속도를 내기 위한 당면 과제는.
-개발의 기초가 되는 용지 조성과 기반시설 구축이 시급하다. 새만금은 대규모 해상 매립사업이라 민간투자가 활성화되기 어렵다. 선도구간 용지는 국가나 공공기관이 나서야 한다. 내부 간선도로,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등 기본계획을 2020년까지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2026년이면 새만금은 세계적인 규제완화제도가 도입된 경제특구이자 한·중 산업협력단지로 발돋움한다. 14억 중국시장으로 통하는 중심 창구가 돼 있을 것이다. 국제공항과 항만, 관광과 레저, 산업과 첨단농업이 융합한 지속가능한 명품도시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정부에서 우선적으로 해야 할 사항은.
-새만금은 국책사업이다. 새만금 개발이 지연되는 것은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가 늦춰지는 것이다. 우선, 용지와 인프라를 조성해 언제든지 활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게 급선무다. 특별법에 의한 새만금기본계획만 충실히 실행해도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정부 차원의 재정적,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국제공항과 세계잼버리대회의 새만금 연계성은.
-전북도민의 숙원인 국제공항은 새만금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 공항개발이 확정된다면 2023년 세계잼버리대회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공항건설과 잼버리 유치는 새만금 내부개발에 큰 시너지 효과가 될 것이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6-04-3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