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대명항서… 전국 두 번째
비브리오 패혈증은 균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이 오염된 바닷물과 접촉했을 때 주로 발생한다. 평균 1∼2일의 잠복기를 거쳐 패혈증을 유발하는데 특히 간질환, 고혈,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고위험군이 감염되면 치사율이 80∼90%에 달한다. 사람 감염은 주로 8∼9월에 발생한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경기 서해지역에서 해수, 갯벌, 어패류를 채취하거나 수거해 비브리오 패혈증 검사를 하고 있다. 경기에서는 2014년 8명의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가 발생해 4명이 숨졌다. 연구원 관계자는 “비브리오 패혈증을 예방하려면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고, 날생선 등을 손질한 도마나 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고 소독해야 한다”면서 “피부에 상처가 났을 때는 오염된 바다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6-05-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