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식 서울 중구청장은 16일 서울시청에서 ‘정동야행 축제’(정동야행)의 의미를 이렇게 담았다. 정동야행은 근대 역사문화유산이 즐비한 정동을 밤 늦은 시간에도 볼 수 있게 한 프로그램이다. 지난해 5월 첫선을 보인 뒤 10월에 두 번째로 진행된 축제에서는 사흘동안 10만 명이 다녀가면서 큰 호응을 얻었다. 문화재청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전국 9개 지역에 확산할 계획도 세웠다.
올해 첫 정동야행은 오는 27~28일 열린다. 올해는 관람부터 체험, 먹거리까지 밀도 있게 준비했다. 이틀 동안 덕수궁과 서울시립미술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중명전, 정동극장, 구 러시아공사관 등 29곳이 밤 10시까지 문을 연다. 옛 미국공사관, 영국대사관, 캐나다대사관 등도 일부 개방한다. 웅장한 모습과 아름다운 건축미를 자랑하는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성공회성가수녀원의 아름다운 정원, 경운궁 양이재도 눈여겨 볼만 하다. 영국대사관과 성공회성가수녀원은 18일까지 정동야행 홈페이지를 통해 관람 신청을 받는다.
공연도 풍성하다. 덕수궁 중화전에서는 27~28일 오후 7시 30분 ‘봄여름가을겨울’ 콘서트와 금난새가 지휘하는 오케스트라 공연이 각각 열린다. 정동제일교회와 성공회성당에서 파이프오르간 연주가 펼쳐지고, 서울시립미술관 앞마당에서 그림자 인형극도 열린다.
구한말 신문물을 엿보는 ‘덜덜불 골목 체험’도 곳곳에 마련했다. 덜덜불은 1901년 덕수궁에 설치된 발전기다. 백열전구를 밝히려고 전기를 만들때 덜덜거리며 요란하게 돌아간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체험 시간에는 덜덜(꼬마등)을 만들고, 자가발전기의 원리도 배운다. 고종이 즐겼던 커피를 만드는 ‘가비의 향’, 당시 은행인 전환국에서 찍은 주화 제작 등 다양하게 준비했다.
정동야행 설명 책자에는 스탬프북을 넣었다. 야간개방 시설 도장을 7개 이상 찍으면 아트캘리그라피 기념품을 증정한다. 해설사와 함께하는 투어코스에 참여하거나, 중구가 내세우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중구 스토리여행’으로 설명을 들으면서 둘러볼 수도 있다.
최 구청장은 “봄의 정동은 매우 아름답다. 근대문화유산이 몰려있는 정동에서 밤 늦도록 멋과 추억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최여경 기자 cy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