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횡성군에 따르면 6~8월 횡성한우 큰 소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당 1만 7476원에 비해 최고 15% 상승한 1만 8000~2만원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열린 횡성한우 경매시장에서 거세송아지의 최고가는 이미 400만원 중반대를 넘어섰다. 7~8개월령 암송아지는 320만원, 5개월령 수송아지는 330만원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7.7%, 7.1% 올랐다.
이처럼 한우 가격이 치솟지만 횡성지역 축산농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횡성 공근면 학담리에서 한우 200마리를 기르는 김일섭씨는 “쇠고기 값이 치솟고, 소 값도 오르면서 800㎏짜리 소 한 마리를 도축하면 사료비와 관리비 등을 제외하고 300만원쯤을 손에 쥐지만 덩달아 오른 송아지 가격 때문에 돈을 번 것도 아니다”면서 “천정부지 오른 소 값이 언젠가는 다시 급락할 것으로 예상돼 한우 농가들은 불안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축산농가들은 치솟은 쇠고기 값이 정부의 강제 조정으로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결국 피해를 고스란히 축산농가들이 떠안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불안은 더하다. 자칫 비싼 값에 송아지를 입식했다가 하락장으로 이어지면 결국 밑지는 장사가 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농가 입장에서 한우 입식을 섣불리 늘릴 수 없는 이유다. 더구나 김영란법 시행에 따라 소비 위축까지 이어지지나 않을까 근심이다.
한상보 전국한우협회 횡성군지부장은 “소 값 상승으로 축산농가들이 당장은 이익이겠지만 정부의 가격 조정과 소비감소 등의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축산농가들의 시름이 어느 때보다 깊다”고 말했다.
횡성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