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군에 따르면 2010년부터 울릉도 북면 일대에서 추진되는 이 사업은 미네랄과 용존산소가 풍부한 1급수 중의 1급수로 판명된 추산 용출수 하루 용출량 2만t 가운데 수력발전용 9000t, 상수원 1000t을 제외한 나머지 1만여t을 생수로 개발하는 것이다. 삼다수로 큰돈을 번 제주도처럼 물을 팔아 열악한 재정자립도를 높이고 일자리도 창출하겠다는 의도다.
군은 2013년 경북도로부터 개발 허가를 받고 업체 선정에 들어갔다. 하지만 지금까지 업체를 선정 못 하고 있다. 군이 의사를 타진했으나 유명 업체 모두 물류비를 감당할 수 없다며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공모도 무산됐다. 군이 민관합작회사를 설립하려던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울릉도 해양심층수 개발 사업에 나섰던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실패, 군의 생수 개발 사업도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SK그룹이 대주주였던 ㈜파나블루는 수백억원의 적자로 사실상 사업을 접었고, 울릉도 유일의 생수 제조업체로 남은 ㈜울릉심층수도 고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주민들은 대기업도 실패한 생수 사업에 재정자립도 최하위권인 군이 투자하겠다는 것은 무리라며 반대한다. 하지만 군 관계자는 “하반기에 업체를 공모하겠다”며 강행 의지를 보였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울릉도 통합상수도시설을 구축, 추산 용천수를 수돗물로 공급한다.
울릉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