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강원도에 따르면 영동지역 최근 두달 동안 강우량은 90.8㎜로 평년 같은 기간 167.5㎜의 54.2%에 그치면서 지자체마다 비상이 걸렸다.
강릉지역 식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현재 38.5%로 예년 70.1%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쳤다. 가뭄이 이어지면서 생활용수 제한급수까지 거론되면서 물 아껴쓰기 실천운동 전개와 비상급수 대책마련에 나섰다. 당분간 비가 내리지 않을 것에 대비해 농업용수는 제한 공급에 들어갔다. 물 절약 실천 방안으로 빨래 모아서 하기, 마지막 헹굼 물 재사용하기 등 가정에서의 물 절약 실천방법이 실린 홍보 전단지를 만들어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마을 방송, 주민연락망 등 주민 홍보에도 나서기로 했다.
저수지도 말랐다 21일 충남 태안군 소원면 송현저수지가 극심한 가뭄으로 거북 등처럼 쩍쩍 갈라진 바닥을 드러낸 가운데 폐사한 조개들이 보인다. 송현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낸 것은 1982년 저수지 준공 이후 처음이다. 태안 연합뉴스 |
전문가들은 “영동지역은 지형적으로 하천이 짧아 빗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면서 해마다 심각한 물 부족현상이 되풀이되고 있다”면서 “저수시설이 그 어느 지역보다 충분하게 갖춰져야 마땅하지만 저수용량과 시설이 부족해 근본적인 해결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명희 강릉시장은 “타들어가는 작물도 살려 내야겠지만 당장 식수원이 말라 가고 있어 주민들 스스로 물을 절약하는 캠페인에 적극 나서주길 당부 드린다”고 호소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