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한 양식장 관리를 당부했다. 적조생물의 일종인 코클로디니움은 고밀도로 발생하면 양식어류의 대량폐사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류가두리 및 육상양식장에서는 양식어장 특성에 맞는 적절한 적조대응이 필요하다. 어류 양식장에서는 적조가 발생하기 전에 사육현황과 가두리 대피장소를 파악하고 양질의 먹이 공급과 시설·장비를 점검하고, 적조출현 시에는 사육밀도와 먹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적조 밀도가 ㎖당 1000셀 이상일 경우에는 먹이공급 전면 중단과 충분한 산소공급 등 양식생물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적조 발생 시 상황 및 전망을 매일 홈페이지(www.nifs.go.kr)와 관계기관 팩스송부, SMS 및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제공한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