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미래부의 이사에 드는 비용은 모두 44억원입니다. 내부 인테리어 공사 등에 21억여원, 통신 및 전기 설비 이전에 12억 1000만원 등 같은 청사 내 이전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 과천으로 이사 올 때의 비용과 큰 차이도 없습니다. 기획재정부가 미래부 이전 비용으로 53억원의 예산을 배정했지만, 낙찰 차액 등으로 그나마 적어진 비용에 위안을 얻어야 할 판입니다.
미래부 직원들은 “더 큰 문제는 이번이 마지막 이사가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5동 이전으로 미래부는 당분간 ‘이산가족’이 됩니다. 현재 5동에 있는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이전 일정 때문에 미래부 직원 190명은 임시로 3동 2~3층에 배치됩니다. 이들은 5~6개월 뒤 경인식약청이 나가면 다시 5동으로 이사를 합니다. 미래부 내부에서는 “이사를 또 해야 한다는 것도 그렇지만, 비효율적인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업무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미래부는 “야간, 주말 이사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900여명이 움직이는 이사에 일정 부분 업무 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부 직원들의 불편과 불만은 그렇다 치고, 국민들의 세금으로 이뤄진 예산이 추가로 44억원이나 이사 비용으로 들어가게 된 데 대해서는 과연 이것이 최선인지 행정자치부 등에 묻지 않을 수 없을 듯합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7-1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