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국제 경제정책 총괄… 세제의 산실 ‘포진’
기획재정부 1차관 산하에는 우리 경제의 국내 정책과 국제 정책을 총괄하는 각각 3개의 국과 소득세, 법인세 등 세금 제도를 수립하는 세제실이 포진해 있다. 기재부의 ‘입’ 역할을 하는 대변인도 1차관이 관할한다.[국내경제 3국]
●경제정책국 경제정책국장에게는 ‘국가대표 국장’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큰 틀에서 나라 경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분석하고 전망하는 업무에 더해 물가, 금융, 부동산정책까지 총괄하는 핵심 보직이다. 공직 입문 뒤 줄곧 거시정책 분야를 담당해 온 이호승(50·32회) 국장이 지난 2월 이 자리에 앉았다. 외유내강의 성품과 온화한 리더십으로 후배들 사이에 인기가 좋다. 한 후배는 “경제분석과장 시절 장관 연설문 작성 주문이 떨어지면 후배들에게 지시하는 대신 주말에 혼자 출근해 쓰는 모습을 자주 봤다”고 전했다. 필요할 때는 불도저 같은 추진력을 보이지만 속내는 잘 드러내지 않는 편이다. 그것이 장점이면서 때로는 단점도 된다는 평이다. 출입기자들 사이에서는 주관이 뚜렷하고 고집이 센 국장으로 알려져 있다.
물가정책 등 민생 현안을 챙기는 민좌홍(51) 민생경제정책관은 한국은행 출신이다. 기재부와 한은 간의 첫 국장급 인사 교류로 지난해부터 기재부에서 일하고 있다. 만능 스포츠맨이며 호탕하고 유머 있는 성격으로 기재부에서도 따르는 직원이 많다.
●정책조정국 차영환(51·32회) 정책조정국장은 경제부처 간의 정책을 조율하는 균형추 역할을 한다. 경제정책국이 큰 그림을 그린다면 정책조정국은 서비스, 지역경제, 산업, 환경 등 여러 부처에 걸쳐 있는 현안들을 융합하고 조정해 실제 정책으로 담아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차 국장은 완벽한 일 처리를 중시한다. 칭찬보다는 지적을 앞세워 후배들을 강하게 ‘조련’하는 스타일이다. ‘워커홀릭’이어서 쉬는 날에도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과장과 사무관에게 모바일 메신저로 업무 지시를 하기도 한다. 한 사무관은 “많은 질책을 감수하고라도 많은 배움을 얻기를 원한다면 차 국장은 최고의 직장 상사”라고 말했다.
양충모(53·34회) 성장전략정책관은 덕장으로 평가된다. 예산, 재정, 정책 업무를 섭렵하고 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1차관 밑에서 근무하며 정무 감각까지 익혔다. 보통 외부기관에 파견을 나가면 머리를 식히다 오는 경우가 많은데, 양 정책관은 새만금개발청 기획조정관으로 있으면서 새만금에 ‘규제 프리존’을 적극 유치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미래경제전략국 백용천(50·31회) 미래경제전략국장은 ‘전공 탐색’이 길었던 케이스다. 사무관 시절에는 금융정책을 담당하다가 지역경제과장, 국고과장을 거쳐 주중대사관 참사관을 지냈다. 지난해 6월 미래경제전략국장에 부임한 이후 노동개혁 추진으로 마음고생이 심했다는 후문이다. 청년·여성 일자리 확충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이른바 ‘그립’(조직 장악력)이 센 편이라 모시기 힘든 국장이라는 평가도 있다.
[국제경제 3국]
●국제금융정책국·국제금융협력국 국제금융 라인의 국장 5인방은 ‘경제 외교관’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국제 감각과 뛰어난 영어 실력을 공히 갖췄다. 황건일(55·31회) 국제금융정책국장은 합리적이고 깔끔한 업무 처리가 돋보인다는 평가다. 상사에겐 믿음직한 후배로, 직원들에게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존경받는 국장으로 꼽힌다. 최경환 전 부총리 겸 장관 때 비서실장을 지냈다.
김윤경(50·33회) 국제금융심의관은 국제 협력과 금융정책에서 잔뼈가 굵은 국제통이다. 국외 출장이 잦은 국제금융 공무원 중에서도 가장 많은 국제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대변인을 맡아 대내외에 이름을 알렸다. 유머 감각이 뛰어나고 직원들과의 소통을 중시한다. 기재부 자전거 동호회 회장도 맡고 있다.
진승호(53·33회) 국제금융협력국장은 국제, 예산, 세제와 정책 조정 등 다양한 분야를 거쳐 ‘국금(국제금융) 라인’에 정착했다. 온화하고 배려심 많은 성품이다. 분명한 업무 지시로 직원들이 신망이 두텁다는 평이다.
●대외경제국 통상 및 경제·개발협력 등 대외경제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김회정(50·32회) 대외경제국장은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국제기구와 협업한 경험이 많다. 이렇게 만든 국제 인적 네트워크를 자산으로 국제 동향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함께 일하기 좋은 합리적인 상사라는 전언이다.
조원경(48·34회) 대외경제협력관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글솜씨를 자랑한다. 글로벌 경제 관련 보고서 작성을 전담하면서 ‘법정에 선 경제학자들’, ‘명작의 경제’ 등 다수의 책을 펴냈다. 박재완 전 장관이 아끼던 연설문 작성자였다. 세계경제가 나아갈 방향을 브라질 전통 춤인 삼바에 비유한 연설문은 명문으로 회자되고 있다.
[세제실 4국]
●조세총괄정책관 세제실의 선임 국장인 안택순(52·32회) 조세총괄정책관은 조세정책 기획과 세입예산 편성 등을 담당한다. 깐깐하고 예리한 정통 세제맨과 달리 ‘자유로운 영혼’에 가깝다. 윗선에 아닌 건 아니라고 할 말을 하는 편이다. 합리적이지만 술이 약해 환영회나 송별회 등 회식을 즐기지 않는데, 이 때문에 끈끈한 정이 아쉽다는 말도 나온다.
이상원(50·34회) 재산소비세정책관은 세제실 경험이 없다. 경제분석과장 등 거시정책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으며 직전에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에서 근무했다. 거시정책을 주로 다뤄 왔기 때문에 세제 분야를 큰 그림을 바탕으로 입체적으로 보는 것이 장점이다. 공익법인 세제 혜택 손질 등 산적한 과제를 떠안았다.
이상율(52·34회) 관세국제조세정책관은 겉으로는 무뚝뚝하지만 속정이 깊은 스타일이다. 직원들에게 부담을 주는 지시를 싫어하는 신세대 리더십을 보유했다는 게 후배들의 전언이다.
[대변인]
대변인의 제1 덕목은 친화력이다. 정무경(52·31회) 대변인은 원만한 대인 관계와 소통 능력, ‘두주불사’의 주량까지 갖춰 부임 전부터 ‘준비된 대변인’으로 통했다. 경제정책과 예산, 세제 등 기재부 업무 전반에서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책 세일즈’에 능하다는 게 기재부 안팎의 평가다. 출입기자들과 끈끈한 친화력을 바탕으로 공(功)은 최대한 널리 알리고 과(過)는 최소한 작게 알려지도록 하는 대변인의 고유 업무를 충실히 수행해 왔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08-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