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안동시에 따르면 지역 생강재배 면적은 2010년 265㏊에서 2014년 333㏊, 2015년 448㏊, 올해는 510㏊로 갈수록 확대됐다. 6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안동은 지난해 기준 전국 생강 생산량의 17%를 차지하는 최대 산지다.
이 같은 요인은 생강이 다른 작물보다 비용 대비 소득이 높은 데다 특유의 매운 향 때문에 멧돼지나 고라니 같은 야생동물 피해가 없어서 농민들이 재배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재배면적 증가로 생산량도 급증했다. 2010년 4400t이던 생강 생산량은 2014년 5500t, 2015년 6900t으로 늘었다. 올해는 8300t이 넘을 것으로 안동시는 추정한다. 그 때문에 2014∼2015년 8만 5000원까지 올라간 20㎏ 1포대(중·상품 기준) 수매가가 올해는 3만 5000원선(안동농협 기준)으로 폭락했다. 특히 일부 농협에선 2만 7000∼3만원 안팎에 출하되는 실정이다.
생강 재배농민들은 “재배 면적을 조절하지 않으면 과잉생산으로 내년에 가격이 더 내려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