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류 연어 회귀율 알 수 있게 돼
울산 연어 전문 연구기관인 태화강생태관이 태화강으로 회귀하는 모든 연어의 유전자 정보를 구축한다. 울산 태화강이 고향인 연어를 구별하려는 것이다.태화강생태관은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내수면생명자원센터와 함께 매년 태화강으로 회귀하는 연어의 DNA 정보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태화강생태관은 지난해 말 태화강으로 회귀한 모든 연어의 DNA 정보를 처음 구축했다. 지난해 태화강으로 돌아온 연어는 모두 123마리다. DNA는 연어의 등지느러미 뒤쪽에 있는 작은 기름 지느러미 세포에서 얻는다.
태화강생태관은 또 지난해 회귀 연어의 알을 인공부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모두 2만 7000여 마리의 어린 연어로 키워 올해 3월 태화강에 다시 방류했다. 2000년 태화강에 연어를 방류하기 시작한 이후 울산에서 인공부화에 성공해 어린 연어로 키워 방류한 것은 17년 만에 처음이었다.
울산 태화강 연어 회귀는 2003년부터 시작됐고 2014년에는 1827마리가 돌아왔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7-04-1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