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절름발이 보행렬 확인
공룡이 절뚝거리며 걸은 발자국 화석이 국내 처음으로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공룡 발자국 화석에서 확인됐다.
|
진주교육대 부설 한국지질유산연구소가 17일 소개한 경남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 위치한 공룡 발자국 화석의 모습. 연구소는 이 발자국이 절뚝거리는 대형 초식공룡에 의해 생겼다고 밝혔다. 진주 연합뉴스 |
지질유산연구소는 1982년 발견된 ‘고성 덕명리 공룡과 새 발자국 화석 산지’ 일대 발자국 화석의 앞·뒷발 위치와 보폭 등을 정밀 분석한 결과 비정상적인 공룡 걸음을 확인했다. 연구소는 일반적인 대형 초식 공룡 발자국은 보행렬 폭과 보폭, 발자국 등이 좌우 대칭을 이루고 규칙적이지만 덕명리 해안가에서 발견된 4개 보행렬 발자국은 불규칙하고 비대칭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1번과 3번 공룡 보행렬 발자국은 왼쪽 앞발자국이 뒷발자국과 나란하지 않고 반복해서 바깥쪽으로 치우쳐 있다. 또 2번과 4번 공룡 발자국은 오른쪽 앞발자국이 반복해 바깥쪽으로 치우쳐 있다.
김 교수는 “한쪽 다리 발자국이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는 것은 해당 다리 길이가 다른쪽 다리보다 길기 때문으로 선천적으로 다리가 기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초식 공룡의 ‘절뚝걸음’ 화석은 포르투갈과 독일의 쥐라기 지층에서만 발견됐다.
지질유산연구소 측은 고성 공룡 발자국 화석에 대한 이번 연구 내용을 오는 20일 경주에서 열리는 ‘2017년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진주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2017-04-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