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위 구성… 요금 인하 요구
경기 구리시는 지역 기관단체장 50여명 등으로 통행료 인하 범시민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를 구성한다고 4일 밝혔다. 공대위는 국토교통부와 시행사를 상대로 통행료 인하 요구는 물론 갈매신도시 방음벽 및 갈매나들목(IC) 설치를 요구하고 2010년쯤 고속도로 건설업체 중 한 곳인 ㈜대우건설이 고구려역사문화보존회에 기부하기로 했다가 백지화한 고구려역사기념관 건립비 100억원도 내놓으라고 촉구할 예정이다. 구리시는 “그동안 갈매나들목과 방음역 설치를 여러 차례 요구했으나 시행사가 묵살했다”고 밝혔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고속도로 구리 시종점이 당초 암사대교에 연결될 계획이었으나 강변북로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바뀌어 출퇴근길 교통 체증이 발생하게 됐다”면서 “설계변경으로 300억원의 공사비가 절감된 배경과 고구려역사기념관 건립비 기부가 백지화된 경위도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다.
포천시의회도 전날 보도자료를 내고 “통행료를 과도하게 책정한 것은 지난 60여년간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해 온 경기 북부 주민들의 재산권 및 고통을 외면한 이기적인 태도”라고 비판했다. 시의회는 오는 13일 임시회에서 결의문을 채택해 중앙정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지난달 29일에는 포천시가 “2004년 사업제안서를 국토부에 처음 제안할 때 한국도로공사 운영 고속도로 대비 1.02배 수준의 통행료를 받겠다고 했던 시행사가 1.2배 수준으로 올렸다”며 “의정부·동두천·양주시 등과 연대해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영우(포천·가평), 정성호(양주) 의원도 “포천(양주)~서울 출퇴근 요금이 하루 왕복 7800원, 월간 18만원에 이른다”며 접경지역 특수성을 감안해 통행요금을 도로공사 수준으로 낮출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서울북부고속도로 측은 “2004년 6월 정부에 고속도로 건설을 제안할 당시에는 도로공사 구간 요금보다 1.02배 통행요금을 받을 수 있었으나 13년 동안 물가가 35% 올라 1.2배 차이가 난 것”이라고 해명했다. 민자고속도로는 물가인상률을 요금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약이 체결됐다. 도로공사는 정부의 물가인상 억제 방침에 따라 12%만 올려 차이가 난다는 설명이다. 이어 “지난해와 올해 개통한 5곳의 다른 민자고속도로보다 싼 편”이라고 덧붙였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7-07-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