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대왕신종·신라비 이어 하회탈 제작 추진
“시민 접근성 높여” vs “문화재 가치 떨어뜨려”경북의 시·군들이 우리 문화재인 국보 복제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시·군들은 국보 복제가 문화재 활용도 제고와 문화·관광 상품화 및 자원화 등에 효과적이라는 반면 전문가들은 마구잡이식으로 이뤄질 경우 국보 훼손과 모욕이 우려된다며 신중을 당부한다. 안동시는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반환받은 국보 제121호인 ‘안동 하회탈’ 복제품 제작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하회탈의 주인인 하회마을보존회 동의와 문화재청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12세기쯤 고려 중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하회탈(나무가면, 총 14점)은 현재 주지 2개·각시·중·양반·선비·초랭이·이매(하인)·부네(첩·기녀)·백정·할미 탈 등 11점이 남아 있다.
|
포항시가 지난 2월 냉수리 신라비와 중성리 신라비를 본떠 만든 비석의 모습. 포항시 제공 |
하지만 임재해 안동대 민속학과 명예교수는 “안동 시내 곳곳에 조잡하고 엉터리로 복제되거나 재현된 하회탈이 흉물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어 국보의 가치를 크게 떨어뜨리고 있다”면서 “국보 복제는 최대한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안동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7-12-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